[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도 33개월째 감소
일자리 회복 불구 '30대·자영업자' 체감 못해
"지난 2월 이후 고용 회복세가 7개월 연속 이어지면서 취업자 수는 코로나 발생 이전 고점인 2020년 2월의 99.6%로 방역 위기 이전 수준에 한 발짝 더 근접했다."
지난 15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통계청의 '8월 고용동향'이 발표된 직후 이런 내용을 담은 분석을 자신의 페이스북에 남겼다. 코로나19 4차 확산이 고용시장에 영향을 미쳤지만 이전부터 이어지던 회복 흐름은 꺾이지는 않았다는 낙관적인 전망이 골자다.
이는 계절성 등 비경기적 요인을 제외한 지표인 계절조정 취업자 수를 근거로 하는 주장이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지난달 15세 이상 인구의 취업자 수(계절조정)는 약 2740만명으로 지난해 2월(약 2751만명)에 근접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홍 부총리가 언급한 99.6%라는 숫자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코로나19가 우리 경제에 본격적인 영향을 미친 시기가 지난해 3월부터인 점을 감안하면 일자리가 위기 이전으로 돌아왔다는 분석은 일리가 있는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3월 취업자 수(계절조정)는 2683만명으로 전월과 비교해 68만명가량 감소한 바 있다.
이번 코로나19 4차 확산의 경우 이전 코로나 확산기에 비해 고용 충격이 크지 않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대면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이런 경향이 두드러진 점은 주목할 만하다.
대표적인 대면 서비스 업종인 도소매와 음식숙박업의 지난 7~8월 취업자 수는 전년 대비 3만3000명 감소했다. 이에 비해 지난해 3~4월(1차 확산기)에는 1년 전과 비교해 21만2000명이 줄어들었다. 또한 2020년 9월(2차 확산기)과 2020년 12월~2021년 1월(3차 확산기)의 경우 각각 8만8000명, 27만4000명의 감소 폭을 기록하기도 했다.
최근 들어 청년층의 고용 회복세도 눈에 띈다. 15~29세 구간의 취업자 수는 지난해보다 14만3000명 늘어나면서 6개월 연속 10만명 이상 증가세를 이어갔다. 같은 기간 고용률도 2.3%포인트(p) 상승한 66.9%로 집계됐다.
기재부 관계자는 "비대면·디지털 전환 관련 업종과 공공 부문 제공 일자리도 증가세를 지속하면서 코로나19 취약 부문의 어려움을 보완했다"고 평가했다.
전반적으로 고용시장 회복 흐름이 이어진 것은 맞지만, 일자리의 질까지 코로나19 이전으로 돌아왔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먼저 경제의 허리층인 30대 취업자 수가 지난해 3월부터 18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에도 8만8000명 감소하면서 전 연령대 가운데 유일하게 내림세를 보였다.
정부는 인구 자연 감소에 따른 불가피한 감소라고 말한다. 하지만 인구 감소는 60세 이상을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나타나는 현상이기 때문에 설득력이 약하다. 또한 30대 취업자 수가 꺾인 시기가 코로나19 확산 시기와 정확히 일치한다는 점도 시사하는 바가 있다.
30대가 주로 취업하는 제조업 고용 시장이 아직 침체돼 있다는 분석도 있다. 제조업 취업자는 지난달 7만6000명 줄어들면서 지난해 12월(-11만명)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감소 폭을 기록했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부문 취업자 감소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전자 제품 부문 취업자가 감소로 전환하면서 제조업 취업에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자영업자들의 고용 상황도 나아지지 않았다.
지난달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130만1000명으로 1년 전과 비교해 6만1000명 줄어들면서 2018년 12월 이후 33개월째 감소세를 지속했다. 이는 1990년(119만3000명) 이후 31년 만에 최저치이기도 하다.
반대로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이른바 '나 홀로 사장님'은 5만6000명 늘어난 424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2019년 2월부터 31개월 연속 증가세다. 코로나19로 업황이 악화되면서 직원을 없애고 키오스크 등을 설치하는 무인 판매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정 국장은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는 산업 구조 변화와 코로나19 장기화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며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구인 사업자 감소세, 플랫폼 기반 노동 확대 등으로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코로나19 4차 확산이 아직 진정되지 않아 강도 높은 방역 조치가 이어지고 있다는 점도 고용시장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소다. 이에 정부는 고용 회복세가 유지되도록 정책 지원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홍 부총리는 전날 관계장관회의(녹실회의)에서 "상생국민지원금, 소상공인 희망회복자금 지원을 9월 중 최대한 마무리하고 상생소비지원금도 10월 시행을 목표로 꼼꼼히 준비하겠다"며 "추경 일자리 사업 집행에도 속도를 내고 '청년희망 ON 프로젝트' 등 청년층 체감 고용 상황 개선을 위한 정책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