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19 (토)

  • 흐림동두천 17.8℃
  • 구름많음강릉 15.6℃
  • 서울 19.6℃
  • 구름많음대전 26.1℃
  • 구름많음대구 24.6℃
  • 구름많음울산 24.4℃
  • 구름많음광주 25.7℃
  • 구름많음부산 19.5℃
  • 구름조금고창 23.8℃
  • 구름조금제주 21.2℃
  • 흐림강화 12.0℃
  • 구름많음보은 26.0℃
  • 구름조금금산 26.0℃
  • 구름조금강진군 23.1℃
  • 구름많음경주시 27.4℃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사회

60세이상 접종률 90%…단계적 일상회복 전환 임박

URL복사

 

60세 이상 접종률 89.9%…금명간 90% 도달할 듯
16~17세 54.5% 이어 임산부 2500여명 사전예약
접종 완료자 71만8818명 추가돼 총 3281만280명
1차 접종 8만7867명 늘어나 누적 4033만3027명

 

[시사뉴스 신선 기자]   60세 이상 고령층의 89.9%가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마치면서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의 전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고령층 90% 접종은 정부가 체계 전환의 전제 조건으로 꼽는 주요 지표다.

16일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에 따르면 전날 하루 접종 완료자는 71만8818명 늘어 누적 3281만280명이다.

전체 인구(5134만9116명·2020년 12월 주민등록 거주자 인구) 대비 63.9%, 만 18세 이상 성인 인구의 74.3%가 백신별 기본 횟수를 모두 접종했다.

이날 0시 기준 연령별 접종 현황을 보면 백신 접종이 먼저 이뤄진 60세 이상 고령층에서 89.9%의 접종률을 보였다. 60세 이상 전체 대상자 1315만3568명 가운데 1193만2573명이 접종을 마쳤다.

금명간 고령층 접종률이 9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정부가 추진하는 단계적 일상 회복으로의 전환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이는 전환은 확진자를 억제하는 현행 방식에서 중환자 치료를 중심으로 방역 체계를 바꾸고, 접종 완료자에 대해 규제를 점차 완화하는 내용이다.

고령층의 접종 완료율을 보면 60대가 91.9%로 가장 높았다. 이어 70대 91.5%, 80대 81.1% 순이다.

이하 연령대에서는 50대가 91.3%로 가장 높았고 40대 60.0%, 19~29세 57.9%, 30대 57.7% 등이다. 대학 입시 수험생 등이 포함된 12~17세에선 0.6%가 접종을 완료했다.

 

1차 접종자는 8만7867명 늘어난 4033만3027명이다. 지난 2월26일부터 231일 동안 전체 인구 대비 78.5%, 18세 이상 91.3%가 1회 이상 접종받았다.

신규 접종자는 모더나 6만3939명, 화이자 2만1363명, 아스트라제네카 511명 등이다.

연령대별 1차 접종률은 60대 94.9%, 50대 94.9%, 70대 93.4%, 40대 90.9%, 18~29세 89.5%, 30대 87.1%, 80세 이상 83.6% 등이다

코로나19 치료병원 추가접종(부스터 샷) 인원은 하루 사이 2180명 늘어 이날 0시 기준 5398명이다.

오는 18일 예방접종을 시작하는 16~17세는 전체 89만8571명 중 54.5%인 48만9509명이 사전 예약을 마쳤다. 같은 날 접종이 시작되는 임신부는 2573명이 사전 예약을 마쳤다. 60세 이상 고령층 및 고위험군 추가접종에는 37만4119명이 접종 의사를 밝혔다.

이날 0시 기준 접종 후 이상반응이 의심돼 신고된 사례는 8637건 늘어 누적 32만910건이다. 신고 건수 중 96.3%(30만8899건)이 접종 후 흔히 발견되는 근육통, 두통, 발열, 오한, 메스꺼움 등의 사례였다.

중증 이상반응인 아나필락시스 의심 사례는 신규 22건이 추가돼 누적 1325건이다. 신경계 이상반응 등 주요 이상반응 사례는 신규 229건 늘어 누적 9905건이다. 사망 사례는 18건이 추가돼 총 781건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