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5.4℃
  • 연무서울 10.3℃
  • 맑음대전 11.1℃
  • 맑음대구 11.0℃
  • 구름조금울산 11.5℃
  • 맑음광주 12.1℃
  • 구름많음부산 12.4℃
  • 맑음고창 10.1℃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9.5℃
  • 맑음보은 8.8℃
  • 맑음금산 9.0℃
  • 맑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3℃
  • 구름많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문화

디지털 시대의 예술, ‘CICA 뉴 미디어 아트 국제 콘퍼런스 2022' 개최

URL복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CICA 미술관이 제6회 ‘CICA 뉴 미디어 아트 국제 콘퍼런스 2022(이하 NMAC 2022)’를 6월 11일(토)부터 13일(월)까지 개최한다.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스위스 출신 독일 거주 작가 바바라 아우스트베게문드(Barbara Aust-Wegemund) △미국 델라웨어대 교수 지아레이 장(Jia-Rey Chang) △미국 오클랜드 미시간대 교수 정도이 △미국 로체스터 기반 작가이자 연구가 키아라 콤스톡(Keirah Comstock) △타이완 작가 아천 황(Ai-Chun Huang) △대체 불가능 토큰(NFT) 작가 조신아 △이스라엘 작가 로니 카르피올(Ronnie Karfiol) △미국·한국 기반 작가 이영미 △영국·한국 기반 작가 박세연 △미국 그랜드밸리 주립대 교수 스태퍼드 스미스(Stafford Smith) △루마니아 미대 교수 카탈린 소리누(Catalin Soreanu) △루마니아 큐레이터 라비니아 저맨(Lavinia German) △미국 마이애미대 교수 세실리아 서(Cecilia Suhr)가 발표한다.

CICA NMAC 2022는 디지털 시대의 예술을 기념한다. 또 CICA NMAC 2022는 인공지능(AI), 가상 및 증강 현실(AR), 소셜 미디어, 팬데믹 시대의 예술 등 새롭게 떠오르는 기술 및 동향과 관련한 새로운 형태의 예술·문화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장이기도 하다.

이번 콘퍼런스는 필요시 라이브 스트리밍, 비디오 콘퍼런스, AR 및 소셜 미디어 같은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사회적 거리 두기가 필요한 특수한 상황 때문에 콘퍼런스에 직접 찾지 못하는 전 세계 뉴 미디어 아티스트 및 관객도 참여가 가능할 것이다.

전 세계의 예술과 삶에 대한 열정을 가진 아티스트들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행운이며 삶에 큰 영감을 주고, 깊이를 더한다. 행사를 기획한 김리진 아트디렉터는 “이번 CICA NMAC 2022가 전 세계 아티스트, 학자, 미술 애호가, 지역 주민들이 뉴 미디어 아트와 문화 전반에 대한 생각을 공유하는 뜻깊은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정부,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안 의결…한덕수 대행, 재가 예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1일 상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상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안을 심의·의결했다. 상법 개정안은 지난달 13일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21일 정부로 이송됐다. 법안 공포 또는 재의요구 시한은 오는 5일까지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처리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야권의 재탄핵 추진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정기 국무회의에서 처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 주주 확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재계는 상법 개정안이 소송 남발, 행동주의펀드 공격 수단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투자를 위축시킨다는 이유 등을 들며 반대하고 있다. 반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직을 걸고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반대하고 나서며 양측 입장이 대립하는 상황이다. 한 대행은 경제6단체장 등 재계 관계자들을 만나 상법 관련 의견을 들었다. 또한 이날 국무회의에 앞서 국무위원 간담회를 소집해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관련 의견을 모은 끝에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한 대행은 곧 재의요구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 시대 사회문제를 고전에 녹여낸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이 오는 4월 19일(토) 오후3시30분과 오후7시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 무대에 올려진다. 세계적인 고전명작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댄스시어터샤하르 예술감독 지우영이 현대적 해석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돈키호테를 치매환자로 표현해 현 시대의 노인문제를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은 무엇인지 우리 모두에게 묻는다. 댄스시어터 샤하르의 수석무용수이자 전 LA발레단에 활동한 가수이자 발레리나 스테파니 킴이 추억의 둘시네아로 출연한다. 미스터트롯과 스테이지파이터에도 출연한 정민찬은 추억의 돈키호테로 호흡을 맞춘다. 노인 돈키호테 역은 강준하, 노인 둘시네아역 김순정 성신여대교수, 요양원장은 조윤라, 노숙자 산초 역은 박희태다. 모두 전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들이다. 특별출연으로 경찰 및 전직 발레리노 치매 노인 역을 전 유니버설발레단 주역 제임스전이 1인2역을 맡았다. 지우영 안무가는 독일유학 후 한국에 돌아와 2003 한국발레협회에서 '줄리엣과 줄리엣'으로 신인안무상을 수상한 이후 발레단을 창단해, 이강백의 칠산리를 현대적으로 각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