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17.0℃
  • 맑음강릉 14.4℃
  • 구름많음서울 17.9℃
  • 맑음대전 16.9℃
  • 맑음대구 18.0℃
  • 맑음울산 16.1℃
  • 맑음광주 17.3℃
  • 맑음부산 17.9℃
  • 맑음고창 ℃
  • 구름많음제주 18.6℃
  • 흐림강화 16.2℃
  • 맑음보은 15.3℃
  • 맑음금산 12.8℃
  • 구름조금강진군 13.9℃
  • 구름조금경주시 14.4℃
  • 맑음거제 16.0℃
기상청 제공

사회

당시에는 유쾌했던 홍성군 마늘 광고, 영상 제작사 장미구락부는 억울해

URL복사

 

[시사뉴스 김남규 기자] 홍성군 마늘 광고를 제작한 ‘장미구락부’가 억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 광고 영상에는 꽃무늬 가운을 걸친 여성이 등장한다. 이 여성은 마늘 탈을 쓰고 검은 바지를 입은 사람의 신체 일부를 만지며 "단단하네, 알이 참 굵고, 가까이서 보니까 더 잘 생겼네. 우리 홍산이 하고 싶은 거 다 해"라고 말한다. 이어 '굵고 단단한 홍산 마늘'이라고 소개와 함께 마늘 사진이 나온다. 이 영상은 2020년 홍성 마늘 홍보를 위해 30초 분량으로 제작됐다.

 

홍성군은 해당 영상이 성적 수치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시민들의 항의를 받았다. 논란이 커지자 홍성군은 7월 29일 터미널 영상과 유튜브 영상 송출을 중단했다. 시민들의 항의는 제작사로도 이어졌다.

 

장미구락부에 따르면, 홍성군은 마늘의 인지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다소 자극적이더라도 조회 수가 나올 수 있는 영상을 주문했다. 그 결과 현재의 영상 기획안을 제출했고, 최종적으로 기획안이 통과되면서 영상이 그대로 제작됐다고 장미구락부 측은 말했다. 영상은 국내 영화 ‘말죽거리 잔혹사’의 한 부분을 패러디 한 것이다. 이 부분은 일반적으로도 널리 알려진 명장면이다.

 

영상 제작을 맡았던 장미구락부 전경송 대표는 “기획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제작이 불가능하다”며 “요청한 대로 영상을 만들었고 20년도 당시에는 홍성군을 비롯해 시민들도 만족했기 때문에 20년도 영상이 지금까지 약 2년간 틀어질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시민들의 의견을 들어보니, 불편한 점도 공감은 되지만, 영상 제작사한테까지 항의하는 것은 자제해달라”고 말했다.

 

누리꾼 중에는 긍정적인 반응도 있었다. 한 커뮤니티 사이트에서는 “옛날에는 그러려니 하고 유쾌 상쾌였을 텐데...”,“ㅋㅋㅋ 유쾌하고 좋구먼 굵단”,“각인은 잘 되네 홍산 마늘... 그렇구나...” 등의 댓글이 달렸다.

 

장미구락부는 각종 광고, 유튜브 콘텐츠 등 창의적인 영상을 제작하고 있는 크루(모임)형 영상 제작 스튜디오다. 장미구락부는 20년 9월 프랑스 광고 어워즈 ‘루미에르 AD 그랑프리가’에서 수상한 바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이화순의 아트&컬처] 다른 듯 닮은 남매 작가 윤석남 윤석구 첫 2인전 <뉴라이프 New Life>
한 가문에서 유명 작가가 여럿 나오기는 쉽지 않다. 국내 대표적인 여성주의 미술작가 윤석남(85)과 조각가 윤석구(77)는 한 뿌리에서 나고 자라난 남매 예술가다. 윤석남이 여성사를 발굴해 여성의 목소리를 되살리는 작업을 해왔다면, 윤석구는 물질만능주의와 자본주의를 성찰하고 생명에 애정을 보이는 작업을 해왔다. 서울 소격동 학고재에서 열리고 있는 윤석남 윤석구의 2인전 ‘뉴라이프 New Life’전은 두 남매가 함께 여는 첫전시다. 윤석남은 2000년대 초반 그린 드로잉 80여 점을, 윤석구는 미발표 신작 17점을 내놓았다. 두 사람이 미술로 함께 한 것은 2012년 전북 익산국제돌문화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한 조각이 유일하다. 이번 전시는 동생 윤석구의 조각 작품을 중심으로 윤석남의 2000년대 드로잉을 소개한다. #윤석구, 물질적 욕망 부추기는 자본주의 비판 “살아가면서 하나의 틀에서 출발하는데, 이러한 틀을 극복하지 못하는 우리의 삶에 대해 생각하며 ‘치유와 새 생명 탄생의 의미를 담은 작품을 하게 됐습니다.” 윤석구는 15년 전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후 원광대학 미술대학에서 제자를 기르고 작업을 하면서 숙명적인 틀을 느꼈다고 한다. “비슷한 작업을 계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