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과 미국, 일본 북핵수석대표가 오는 7일 일본에서 대면회담을 갖고 임박한 것으로 관측되는 7차 핵실험 등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한다.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미국과 일본과의 북핵 협의를 위해 6일 오전 도쿄로 출국했다.
임수석 신임 외교부 대변인은 6일 "김건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후나코시 다케히로(船越健裕)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의 초청으로 9월 6일부터 9월 8일까지 일본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임수석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김 본부장은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의 초청으로 9월 6일부터 8일까지 일본을 방문한다"고 밝혔다.
3국 북핵 수석대표가 대면 협의를 하는 것은 지난 7월 초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3국 외교장관 회담 사전조율차 만난 뒤 약 두 달 만이다.
임 대변인은 "김 본부장은 이번 방문에서 한미·한일·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각각 개최할 예정"이라며 "한미일 3국은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시 대응 공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본부장은 이번 회담에서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인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서도 양자 및 한미일 3자 차원의 후속 협의를 갖고 미국, 일본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미국 국무부도 지난 2일(현지시각) 성 김 대북특별대표의 일본 방문(7~9일) 보도자료를 통해 "회담에서 미국과 동맹국에 대한 북한의 위협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와 함께 동시에 대화 의지가 있다는 점을 논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미 국무부는 "북한 이슈에 대해 한미일 3국이 계속해서 긴밀히 협력할 것이고, 회담에서 한국과 일본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이 강조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가 대면 회담을 하는 것은 지난 5월 김 본부장 취임 이래 세 번째다.
최근 군 당국이 북한 함경북도 풍계리에서 7차 핵실험 준비 징후를 포착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핵위협이 임박했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3국 대표는 한반도 정세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 시 대응 공조 방안을 논의한다.
또 우리 정부의 대북 로드맵인 '담대한 구상'과 관련해 양자 및 한미일 3자 차원의 후속 협의를 갖고 미국, 일본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할 계획이다.
김 본부장은 이번 방문에서 후나코시 국장과 성김 미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함께 한미·한일·한미일 북핵 수석대표 협의를 각각 개최할 예정이다. 한미 협의에서는 오찬도 함께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6월 서울에서 열린 한미일 북핵수석대표협의에서는 3국 모두 북한을 강하게 비판하며 공조 강화에 공감했다. 성 김 대표는 미국이 언제든 북한 도발에 대해 "군사적 대비태세를 조정할 준비가 돼있다"고 발언한 바 있다.
북한은 한미일 3국 북핵수석대표들이 회담을 할 때마다 민감한 반응을 보여왔다. 지난 6월 3국 대표 회담 때는 성 김 대표가 출국하는 날 미사일 도발을 하기도 했다.
대통령실 김성한 안보실장은 지난 2일 하와이에서 열린 한미일 안보수장 대면 회담을 마치고 귀국하는 자리에서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경우 한미일 3국이 공조를 통해 국제사회와 더불어 강력 대응하기로 했다며 "만약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게 되면 그것은 절대 '6 더하기 1'이 아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