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26일 "한반도 비핵화, 평화와 안정 수호를 위해 중국이 크게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싱 대사는 이날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해 중국이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한반도는 중국과 연결돼 있다. 한반도에서 사고, 전쟁이 일어나고 핵을 가지면 중국에 좋을 일이 없다. (북한의 핵보유에) 반대한다"며 "중국은 계속 대화와 협상이 한반도 문제 해결의 유일하고 올바른 길임을 강조해왔다. 중국의 입장 변화는 없다"고 말했다.
이어 "3자 회담과 4자 회담, 6자 회담 모두 중국이 주도해 성사됐다. 북미 대화도 중간에서 중국이 조율했다"며 "중국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노력했다. 지금도 여러 측과 접촉해서 강대강으로 가지 말고 선대선 원칙을 얘기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싱 대사는 중·한 관계와 관련해서는 "새로운 고비를 맞았다"며 "가장 큰 외부적 도전은 미국이고, 가장 큰 내부적 어려움은 민심"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중·미 관계는 중·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중미 관계는 내리막길을 걷고 있어 세계가 우려하고 긴장하고 있다"며 "중국은 이를 원치 않으며 이 같은 관계는 중국에 대한 미국의 인식이 편향적이기 때문이다"고 비판했다.
싱 대사는 미국이 자신들의 가치를 앞에서 다른 나라를 압박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미국이 공급망 재편 등을 통해 동맹국 줄 세우기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은) 영원히 세계의 우두머리여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다"며 "자신들이 하는 일은 모두 정의롭고 보편적 가치에 부합한다고 여기며 그들과 다른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복종하지 않으면 혼낸다"고 날을 세웠다.
이어 "많은 한국의 지인들이 한국은 중·미 사이에서 선택을 하기가 어렵다고 말한다"며 "하지만 강조하고 싶은 점은 중국은 다른 국가에 중·미 사이에서 어느 한 편에 설 것을 요구한 적이 없다는 것이다. 한국도 자국의 이익을 관점으로 중·한 관계를 바라봤으면 한다"고 촉구했다.
싱 대사는 또 한국 내 중국에 대한 여론 악화는 한국 일부 언론의 부정적 보도 때문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한중 양국의 상호 호감도가 높지 않아 매우 안타깝고 걱정스럽다"면서 "솔직히 말하면 한국 일부 언론이 중국에 대해 지나치게 부정적인 보도를 한 점이 현재 양국 국민 감정의 불화를 초래한 주요한 원인 아닌가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싱 대사는 대만 통일에 대한 중국의 의지도 강하게 내보였다. 앞서 시진핑 국가주석은 제20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 대회) 업무보고에서 "우리는 평화통일이라는 비전을 위해 최대한의 성의와 노력을 견지하겠으나 무력 사용을 결코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중국이 무력을 이용해 통일을 시도할 것으로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싱 대사는 "하나의 중국 원칙은 확고부동하고, 대만 독립을 절대로 인정할 수 없다"면서도 "그 누가 무력을 동원하고 싶겠는가. 최대한 노력해서 평화 통일을 하자는 것이다"고 답했다.
다만 "현재 대만 집권세력인 민진당은 독립하려고 하고 있다. 독립 세력에 대해 무력을 전혀 안 한다고 담보하지는 않는다. 또 외부 세력의 개입도 인정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