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국과 미국 정부는 23일(현지시각) 윤석열 대통령 비상 계엄 선포 사태 이후 처음으로 고위급 대면 회담을 진행했다. 양측은 굳건한 한미동맹 유지와 북한 도발 가능성에 함께 대비하기로 했다.
외교부는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부장관이 이날 오후 2시께부터 미 워싱턴DC 국무부에서 회담했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 비상 계엄 선포와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한국 정부 고위직이 미국을 공식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회담에서 캠벨 부장관은 회담에서 한덕수 대통령 직무대행의 리더십과 한국 민주주의 복원력을 신뢰한다며, 한미동맹과 한국에 대한 방위공약에 변화가 없다고 확인했다.
김 차관 한국이 한 대행 체제로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한미동맹과 한미일 협력 발전을 위해 계속 노력하자고 당부했다.
또 양측은 북한이 현 상황을 오판해 도발에 나설 가능성에 대비하고, 한미연합방위태세를 더욱 굳건히 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북러 군사협력에 대응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도 계속하기로 했다.
이날 양측은 내달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 이후 한미 관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김 차관은 트럼프 행정부에서도 한미가 동맹을 발전시키고,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긴밀하게 소통하고 공조할 수 있도록 캠벨 부장관이 관심을 가져달라고 요청했다. 캠벨 부장관은 그러한 한미의 공동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차기 행정부에 전달하겠다고 답했다고 한다.
외교부는 양측이 향후 한미 고위급 교류 일정을 협의했으며, 계엄 사태 이후 연기된 한미 외교·안보 일정을 완전히 재개하기로 합의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윤 대통령 비상 계엄 선포 여파로 한미 핵협의그룹(NCG) 회의 및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의 방한이 연기된 바 있다.
김 차관은 이번 회담에서 미국 측에 탄핵 정국 전후 사정을 설명하고, 조태열 외교부 장관과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간 한미 외교장관 회담 일정과 의제를 조율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