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하정수 기자]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은 21일 토양오염 및 골프장 잔류농약 실태조사에 대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토양오염실태조사 및 골프장 잔류농약 담당 공무원 30여 명을 대상으로 시료채취방법 및 실태조사 지침교육을 하고, 지난해 골프장 잔류농약 검사 결과 공유와 앞으로 개선방향에 대한 토의를 진행했다.
토양의 관리는 이제 단순히 양호한 토지의 확보를 위한 수단이 아니라 기후변화 대응과 적응에 있어 탄소의 주요 흡수원(LULUCF)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국제적으로도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 LULUCF(토지이용, 토지이용 변화 및 임업, 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 토지이용 범주별 인위적인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흡수량ㆍ배출량과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온실가스 흡수량ㆍ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하여 규정한 정의ㆍ방식ㆍ규칙
토양오염실태조사는 도내 오염가능성이 높은 지역 250여개 지점에 대하여 4월부터 11월까지 실시된다. 조사 항목은 납, 카드뮴, 비소 등의 중금속, 휘발성 유기화합물, 벤조(a)피렌 등 23개 항목이다.
골프장 잔류농약 실태조사는 도내 55개 골프장을 대상으로 건기(4~6월)과 우기(7~9월)에 한 번씩 연 2회 실시하며 토양(그린, 페어웨이) 및 수질(유출수, 연못)에 대해 잔디 사용 가능 농약 27종을 조사한다.
시군 담당자는 토양 및 골프장 시료를 채취하여 연구원에 분석을 의뢰하고 연구원은 분석이 완료되면 그 결과를 시군에 신속히 통보한다. 토양오염실태조사 결과, 우려기준을 초과한 지점에 대해서는 토양 정밀조사 및 정화·복원하는 등의 행정조치를 하여야 한다.
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토양 오염과 농약 잔류 문제는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도민의 건강과도 직결되며, 처리 및 복구에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면서 이번 간담회를 통해 유해물질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선제적·적극적으로 실태조사를 추진하여 환경오염 예방 및 관리체계 마련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