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0.0℃
  • 흐림강릉 9.2℃
  • 맑음서울 11.6℃
  • 대전 15.0℃
  • 구름많음대구 19.7℃
  • 구름많음울산 19.6℃
  • 광주 17.3℃
  • 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3.4℃
  • 흐림제주 17.4℃
  • 맑음강화 7.6℃
  • 구름많음보은 15.2℃
  • 흐림금산 14.9℃
  • 구름많음강진군 17.4℃
  • 구름많음경주시 19.4℃
  • 흐림거제 17.3℃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기업 사냥꾼’ 론스타의 실체

URL복사

IMF 이후 국내 상륙, 부실채권 인수와 부동산 투자로 막대한 이득 챙겨

또다시 도마 위에 오른 론스타 펀드의 실체는 과연 무엇일까. 론스타가 한국에 처음 상륙한 것은 1998년. IMF 외환위기를 틈 타 한국에 들어온 론스타는 그동안 부실채권 인수와 부동산 투자로 막대한 이득을 챙겼다.
미국 텍사스에 뿌리를 둔 사모펀드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인수한 건 2003년 10월. 사모펀드가 투자한 곳에서 이익을 회수하고 빠져나오는데 보통 3~5년 내외다. 그런데 외환은행 매각과 관련해서는 각종 소송과 논란 속에 7년을 끌어오고 있다.

1억4000만원을 투자해 3년 만에 5조원을 벌어 나갈 계획이 무산된 것이다.
그 사이 금융감독원, 감사원, 국세청, 검찰수사까지 받았다. 탈세가 적발돼 거액의 세금을 추징당했고 대표는 감옥까지 다녀왔다.

현재는 한국에서 철수해 외환은행 매각만을 남겨두고 있다. 론스타는 ‘국부유출’ ‘먹튀’ ‘투기자본’의 대명사로 각안돼 왔다.

2006년 국민은행, 2008년 HSBC로 이어진 매각 시도가 번번히 무산됐다. 그러다 하나금융에 세 번째 기회를 얻어 4조7천억원의 차익과 함께 한국을 벗어날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외환은행 주가조작사건에 대한 대법원의 유죄취지 파기환송 판결(2011년 3월11일)에 이어, 금융위는 이 판결을 이유로 대주주 자격판단을 유보했다.

하지만 손해 본 것은 없다. 지분 매각과 배당으로 최초 투자원금 2조1,500억원 이상 건졌을 것이라는 게 금융계의 판단이다.
외환은행 최대 주주인 미국계 펀드 론스타는 지난해 11월 하나금융과 외환은행 매각 계약을 체결하면서 연말 결산 때 주당 850원의 배당금을 가져가기로 했다.

배당금이 850원 미만으로 결정되면 그 차액을 하나금융이 보전해 준다는 내용을 합의서에 넣었다. 이에 따라 하나금융은 차액인 889억원(주당 270원)을 론스타에 줘야 한다.
외환은행 매각이 순조롭게 이뤄지면 론스타는 외환은행 배당금 수입 1조2130억원, 2007년 지분 13.6% 매각대금 1조1928억원과 하나금융에 지분 51.02% 매각대금 4조6888억원 등 모두 7조946억원을 회수하게 된다.

투자원금 2조1548억원을 제하고 7년 만에 무려 4조9398억원을 차액으로 벌어들인 셈이다.
3월14일 론스타의 외환카드 주가조작으로 손해를 입은 피해자들이 법원에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피해자는 우리사주조합원과 소액주주, 올림푸스 캐피탈 등 총 3.500만주에 이르고 피해금액도 1,486억원에 달한다.
론스타는 현재 한국에서 모두 철수했다. 피해를 보상받을 만한 재산이 한국에는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다. 유일한 재산이 외환은행 주식이다.

론스타가 외환은행을 팔고 나가면 어디서도 배상받을 수 없다. 투기자본감시센터는 “범죄로 얻은 수익을 해외로 빼돌리기 전에 금융위가 즉시 론스타의 외환은행 주식에 대해 동결조치를 내려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