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구름많음동두천 11.3℃
  • 흐림강릉 9.2℃
  • 흐림서울 12.6℃
  • 대전 16.1℃
  • 구름많음대구 19.9℃
  • 구름많음울산 19.9℃
  • 광주 17.7℃
  • 흐림부산 17.7℃
  • 구름많음고창 15.1℃
  • 흐림제주 18.2℃
  • 맑음강화 8.6℃
  • 흐림보은 16.6℃
  • 구름많음금산 17.4℃
  • 흐림강진군 17.5℃
  • 흐림경주시 20.5℃
  • 흐림거제 17.4℃
기상청 제공

경제

부동산 혼란기… 내집마련 ‘길’은?

URL복사

내집마련은 집값이 오르거나, 내려도 걱정이다. 집값 폭등으로 감히 내집마련은 꿈에도 못 꿨지만, 부동산 버블 논쟁이 가시화되면서 집값 오름세가 꺾이는 요즘도 살지 말아야 할지 고민은 마찬가지다. 이런 때 전문가들은 “유망 택지개발지구에서 분양되는 아파트를 주목하라”고 권고한다. 6월부터는 전국적으로 6만3천여 가구의 아파트가 일반분양 되므로 관심을 가져볼만하다.

하반기 전국 6만3천여 가구 일반분양
전국 109곳에서 총 7만7,576가구(주상복합, 임대아파트 포함)가 분양되고, 그 중 재건축, 재개발 조합원분을 제외한 6만3,386가구가 일반 분양된다. 지난해 같은 기간(2만8,709가구)보다 2배가 넘는 수치로, 올 들어서도 최대의 물량이다. 부동산정보업체 스피드뱅크는 “이는 5월 당초 분양예정물량이 5만3,422가구였으나 대다수 사업장의 분양시기가 6월로 연기되어 실제 분양된 가구수는 대략 40% 정도인 3만2,425가구에 그쳤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분양예정 아파트는 많으나 월드컵 개막과 함께 분양시기를 다소 늦추려는 경향도 나타나기 때문에 당초 분양물량이 변경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6월 분양물량의 특징으로는 지방의 물량이 4만3,307가구로 전체(6만3386가구)의 68.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역별로는 공세지구 등의 택지지구 분양물량이 몰린 경기지역이 26개 사업장에서 1만6227가구로 가장 많은 물량을 선보였으며, 그 뒤를 경남 12곳 9277가구, 부산 11곳 8642가구, 대구 13곳 8124가구, 충남 5곳 3474가구, 전북 5곳 3449가구 순으로 지방의 분양물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은 14곳의 사업장 중 재개발ㆍ재건축 아파트가 9곳이나 포함되어 총5669가구 중 2574가구만이 일반분양 된다. 주요 단지로는 지난달에서 분양 일정이 미뤄진 황학동 롯데캐슬(491가구)과 숭인5구역을 재개발해 짓는 현대홈타운(112가구)등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주요 택지지구로는 부산 정관지구에 7개 사업장에서 7459가구로 가장 많은 물량이 공급된다. 그 중 현진 2120가구, 대주건설 1544가구, 효성 1152가구 등이 1천 가구 이상 메머드급으로 분양한다.
그밖에 주요 대단지로는 경기 공세지구에 대주건설이 2000가구의 분양물량을 선보일 전망이며, 대구 월성동에 현대산업개발이 1574가구, 충남 배방지구에 대한주택공사가 1102가구를 공공 분양한다.

청약통장 없다면 미분양 또는 미계약 분양 노려볼만
특히 청약통장이 있다면 택지지구 진입이 훨씬 유리하다. 하지만 청약통장이 없어도 간혹 택지지구에서 미분양이나 미계약분이 나오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때를 적극 노리는 방법도 있다. 미분양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것이 사실이지만 수요자 입장에서 본다면 알짜배기 틈새시장이 될 수도 있다.
미분양이 지속될 경우 건설업체에서는 중도금 무이자 대출이라든지, 새시를 비롯한 각종 옵션을 무상제공 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처음부터 이러한 내용을 계약조건으로 내세우는 단지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단지가 더 많다.
내집마련정보사는 “신도시나 택지개발지구는 중장기적으로 실거주나 재테크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면서 “차후 가격이 오르면 진입하기가 더욱 어렵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예컨대, 1기 신도시들을 보면 처음에는 가격 상승이 높지 않았는데 가면 갈수록 가격이 상승한다는 것이다. 특히 제일 먼저 공급된 시범단지들의 가격 상승률이 가장 크다. 따라서 이런 단지들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
신도시나 택지개발지구의 경우 처음에는 기반시설이 부족하고 도시가 완전하게 형성되지 않아 불편한 점도 있지만 일단 온전한 모습을 갖추면 그때부터는 생활하기도 편리하고 가격도 상승하므로 청약통장이 없는 사람은 한 번쯤 고려해볼 만하다.
김포 장기지구 ‘우미 린’의 경우, 미분양 사태가 발생했다. 지난 5월 10일까지 청약접수를 받았는데 총 151가구가 미달된 것. 경쟁률은 0.6대1로 지난 3월 동시분양 비하면 저조했다. 그러나 우미 린은 이미 청약접수 전 사전예약자들이 2천여명 몰려 대기 중에 있다.
우미 린 관계자는 “청약 접수를 받은 결과 미분양이 된 것은 평형도 모두 40평형대로 중형이었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청약통장을 많이 아끼려는 분위기도 있고, 판교 부적격 당첨자에 대한 추가 당첨 기대로 청약을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사전예약에서 2천여 명이 몰린 것은 수요자들이 김포 신도시 입지가 좋고 등기 후 전매가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청약통장이 없으면 이러한 유망 택지지구를 선별하여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
청약통장이 있다면 유망 택지지구에 적극 청약할 필요가 있다. 올해는 판교신도시를 비롯해 파주신도시, 김포신도시, 화성 향남지구, 용인 흥덕지구, 성남 도촌지구, 의왕 청계지구 등의 물량이 줄줄이 대기 중이다. 특히 투기과열지구 안의 공공택지지구는 35세 이상 5년 이상 무주택세대주 우선권이 주어지고, 원가연동제, 전매제한 강화 등으로 실수요자들은 당첨에 유리한 부분이 있다. 수도권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택지지구 분양이 이어지므로 인근 지역 거주자들은 실수요 입장에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