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세계 3위의 반도체소자 산업과 세계 1위의 디스플레이패널 산업은 우리나라의 경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메모리 반도체 관련 생산기술 또한 세계최고의 수준이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는 전자관련 수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 경제를 떠받치는 핵심품목인 것이다. 반도체 제조공정과 매우 유사한 공정으로 생산되는 디스플레이 산업이 세계 최고의 반열로 올라설 수 있었던 이유 역시 우수한 반도체 생산기술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공정은 기본적으로 대규모 설비투자를 바탕으로 대량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장치산업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는 대규모 설비(장비)의 대부분인 약 70%정도를 미국-일본 등 선진국으로부터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는 기본적으로 나노 및 마이크로 수준의 반도체소자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가공하고 제조하는 전자장비이다. 국내 산업체에서 이를 개발하고 생산해서 판매를 할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을 갖추려면 핵심기술인 전자, 기계, 화학, 재료, 물리 등 고도의 원천기술과 학문간 융합기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핵심 부품소재 개발을 위한 첨단산업의 기반기술과 함께 수준 높은 메카트로닉스 기술도 필수사항이다. 국내 산업계에서 나노 및 마이크로 수준의 고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전자장비, 즉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를 개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다는 것은 매우 의의가 있으며 그 필요성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둘째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산업의 세계적인 시장규모는 100조원에 이르기 때문이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반도체메모리 수출로 벌어들인 이익의 대부분을 고스란히 반도체장비 수입을 위하여(3조원이상)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지급하고 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를 생산하는 기업은 대부분 전문 종소기업으로서 소자 및 패널을 생산하는 대기업에 비교하여 부가가치 및 고용효과가 매우 크다. 국가의 수출입 적자분야를 줄이고 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은 분야이기 때문이다.
셋째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 개발기술의 확보는 타 정밀 전자장비 산업성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선진외국에 수입의존율이 여전히 매우 높은 통신 전자장비와 의료장비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또한 전자, 기계, 화학, 재료, 물리 등 고도의 원천기술과 학문간 융합기술을 필요로 한다. 나노 및 마이크로 수준의 고도의 정밀가공과 제어기술의 확보 없이는 세계 최고수준의 의료장비와 통신 전자장비의 개발은 요원하다. 다행이 반도체소자 및 디스플레이패널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큰 역할을 하면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시장을 형성해 주고 있는 이때에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지원과 산업체, 학계, 연구계가 힘을 합쳐 차세대 장비를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반도체소자 및 디스플레이패널 생산 공장이 중국 등 인건비가 저렴한 국가로 이전한다 하더라도 국내의 공동화 현상을 막고 차세대공정과 장비기술을 갖는 그리고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을 국내에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필요성을 근거로 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개발 기술을 갖춘 우수한 현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하여 산업자원부, 반도체산업협회, 소자 및 장비업체등이 협력하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내에 반도체장비기술교육센터(소장 김광선 교수)를 설립하게 되었다. 반도체장비기술교육센터(SETEC)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업체등의 현장인력을 대상으로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개발, 생산 및 유지보수 인력을 양성함으로써 국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산업 육성과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의 균형발전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세미나, 워크샵 등 단기강좌를 비롯하여 위탁교육과정,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의 기초과정, 일반기술과정, 그리고 장비를 구성하고 있는 전문요소 기술 등의 교육과정을 두고 있다. 이런 교육과정을 뒷받침 하고자 30평의 전용강의실, 100평의 전용장비 실습실, 기술지원실, 300여명이 동시에 숙박가능한 시설도 완비하고 있다. 그동안 센터에서 교육을 받은 산업체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LG전자, 세메스, 주성엔지니어링 등 총 440여개 업체이며 현장기술자는 13,770 명, 개발된 교육교재는 Flash 및 DRAM 메모리기술 등 총 100여권에 이른다. 각종 기관으로부터 우수교육기관으로 평가를 받아오고 있으며 특히 대통령 근정포장(2004년 9월), 특허청장 표창(2003년 12월), 충남도지사 표창(2001년 10월), 교육연계 우수상 및 장려상(2001년, 2002년) 등 다수의 포상 및 표창을 받아왔다.
특히 반도체장비기술교육센터 김광선 박사는 센터을 운영하면서 산업체와 현장인력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하여 반도체 디스플레이 장비분야의 우수한 기술인력 확보는 산업체와 정부의 노력과 함께 대학에서 우수한 인력이 배출되어야 함을 깨닫고 2001년 산업계, 학계, 연구계가 함께 모여 한국 반도체및디스플레이 장비학회를 설립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삼성전자 반도체 연구소장을 역임한 김광교 사장(현 (주)OFT 회장)이 학회의 초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그 뒤를 이어 김광선 교수는 학회의 2대회장으로 선출되었으며 금년 1월에 3대 회장으로 재 선출 되었다. 한국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장비학회는 개인 및 단체회원을 포함하여 등록 회원수 만 현재 650 여명이며 년 4회 2000부 이상의 학술 논문집 발간, 년 2회의 학술대회 개최, 국제세미나, 홈페이지(www.ksset@kut. ac.kr) 구축 및 운영 등 다양한 학술활동을 전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