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18 (금)

  • 구름많음동두천 23.1℃
  • 구름조금강릉 21.2℃
  • 구름많음서울 23.5℃
  • 맑음대전 26.1℃
  • 맑음대구 29.3℃
  • 맑음울산 25.7℃
  • 맑음광주 25.2℃
  • 맑음부산 20.8℃
  • 맑음고창 24.0℃
  • 맑음제주 26.7℃
  • 구름조금강화 18.1℃
  • 맑음보은 26.0℃
  • 맑음금산 26.1℃
  • 맑음강진군 21.2℃
  • 맑음경주시 29.6℃
  • 맑음거제 18.5℃
기상청 제공

경제

미혼직장인 58%, 맞벌이는 필수

URL복사
직장이 없다면 결혼하기도 힘든 세상이다. 이것은 곧 ‘여성’을 겨냥한 말이기도 하다. 과거에 조신하게 집에서 ‘신부수업’을 하던 여성들이 각광받던 시대가 과연 있었을까 싶다.
일도 가정일도 잘하는 ‘원더우먼’을 바라는 남성들이 늘고 있는 것이다. 취업포털 커리어(www.career.co.kr)가 미혼 직장인 1,379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맞벌이’에 대해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57.5%가 “맞벌이가 결혼 전제조건“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맞벌이를 희망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이유’와 (49.7%) ‘자아실현’(38.3%)의 목적이 가장 많았다.
한편, “결혼 후 돈 관리”에 대해 ‘아내에게 맡기겠다’는 응답이 38.9%로 집계된 가운데, ‘공동 생활비를 부담하고 각자 관리 하겠다’라는 직장인도 36.0%나 됐다.
우리나라 ‘부자’들의 점수는 4.99
우리사회가 ‘부자’를 보는 시각은 어떨까. 일반인을 대상으로 부자에 대한 인식을 평가한 결과, 우리나라 부자에 대한 평가 점수는 4.99(10점 기준)로 나타났다.
소위 ‘가진 자’의 사회적 책임이 요구되고 있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평가가 작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부자의 노력을 인정은 하지만 존경하지는 않는다’고 응답한 응답자가 61.9%에 달해 부자에 대한 우리사회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크다는 것을 반증한다.
자신이 부자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그렇다’(4.8%)라고 응답한 부자들은 재산형성 방식을 ‘창업/기업경영’(39.6%)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 다음이 ‘부동산 투자’(18.8%), ‘저축’(12.5%), ‘상속 및 증여’(10.4%) 등의 순이었다. 일반인들은 부자들이 ‘부동산 투자’로 부를 축적했을 것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는데, 이는 그만큼 부자에 대한 불신이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올 들어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의 보복 폭행 사건, 삼성가의 에버랜드 CB사건 등 재벌가의 부정적인 모습이 알려지면서 이 같은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분석된다.
결혼은 NO, 아이는 OK 32% ‘찬성’
SBS ‘불량커플’은 결혼은 않고 아이만 낳아 키우고 싶어하는 커리어 우먼의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다. 어쩌면 복잡한 결혼생활보다 독신으로서 당당한 삶을 추구하는 미혼들이 늘고 있는 추세를 조금은 과장되게 그린 면도 있다. 하지만 어찌됐든 애인보다 ‘애완동물’을, 결혼 NO, 아이는 YES를 이상화(U) 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이는 SBS ‘불량커플’이 5월31일부터 6월7일까지 홈페이지를 방문한 네티즌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도 나타난다. 남편 없이 여자 혼자 아이를 낳아 기르는 일에 대해 네티즌 68.1%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였다. 하지만 거꾸로 32% 정도는 ‘싱글맘’도 OK라는 뜻이 되기도 한다. 키울 능력이 있는 싱글맘이라면 혼자서 애를 낳아 키워도 무관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아이를 위해 결혼은 하지 않아도 아이의 아빠가 존재해야 한다는 데는 예나 지금이나 별반 다르지 않은 것 같다.
‘일하면서 혼자 아이를 키우는 것은 만만하지 않다’(26.2%)거나, ‘결혼은 안해도 아빠의 존재는 필요하다’(22.7%), ‘아이의 정서를 위해서라도 결혼은 꼭 해야 한다’(18.8%)는 의견이 다수 차지한 것을 보면 말이다.
대학생 66%, “장래희망과 직업은 별개”
‘꿈’을 잃어버린 젊은이들이 많다는 것은 슬픈 현실이다. ‘알바몬’이 남녀 대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어린 시절 꿈꾸었던 장래희망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는 대학생은 23.7%에 불과했다. 심지어 응답자의 9.6%는 ‘장래희망이 무엇이었는지 기억도 나지 않는다’고 답했다.
특히 장래희망과 취업 관계에 대해 ‘현재 취업을 희망하고 있거나, 준비 중인 직종은 전혀 관계가 없다’는 응답이 66.7%를 차지해 눈길을 끌었다. 심각한 취업난에 ‘꿈’보다 ‘현실’을 택한 젊은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