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5.0℃
기상청 제공

경제

백화점 판매수수료, 롯데 28.5% '최고'..TV홈쇼핑은 현대·CJ홈쇼핑·롯데 순

URL복사

[시사뉴스 김승리 기자] 국내 백화점업체들이 납품업체를 상대로 매출액의 30% 가깝게 판매 수수료를 챙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2015년 백화점·TV홈쇼핑 판매수수료율 분석결과'에 따르면 올해 백화점 7개사의 판매수수료율은 27.9%로 지난해(28.3%)보다 0.4%포인트 낮아지는 데 그쳤다.

업체별로 보면 롯데(28.5%)의 판매수수료율이 가장 높았고 신세계(28.4%), AK플라자(28.1%), 갤러리아(27.6%), 현대(27.5%), 동아(24.3%), NC(22.9%)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롯데·현대·신세계 등 상위 3개사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28.2%로 중하위 4개사 평균(26.4%)보다 높았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롯데(29.3→28.5%), 현대(28.2→27.5%) 등 5개사의 수수료율은 내렸지만 신세계(27.8→28.4%)와 갤러리아(27.0→27.6%)의 수수료율은 오히려 상승했다.

납품업체 형태별 판매수수료율은 대기업 29.3%, 중소기업 27.7%, 해외명품업체 22.1% 등이었다.

상품군별로 보면 셔츠·넥타이(33.9%), 레저용품(32.0%), 잡화(31.8%), 여성정장(31.7%), 란제리·모피(31.1%) 등의 수수료율이 높았다.

디지털기기(11.0%), 대형가전(14.4%), 소형가전(18.6%), 문구·완구(18.7%), 신선식품(20.8%) 등의 수수료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백화점이 납품업체에서 상품을 외상매입해 판매하는 '특약매입'의 수수료율은 28.9%, 매장을 임대해주고 임차료를 받는 업체에 대한 '임대을' 수수료율은 20.4%로 조사됐다.

한편 인테리어비, 판매촉진비, 광고비 등 납품업체가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오히려 늘었다.

2014년 기준으로 백화점 납품업체의 업체당 추가 소요비용은 4970만원으로 전년(4630만원)보다 340만원 증가했다.

인테리어비(4430만→4700만원)와 판매촉진비(150만→220만원)의 부담이 커졌고 광고비(50만원)도 지난해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납품업체 추가 소요비용은 롯데(6390만원), 신세계(6080만원), 갤러리아(5980만원), 현대(5090만원), AK플라자(5090만원), NC(3320만원), 동아(2360만원)의 순으로 높았다.

◇TV홈쇼핑 6개사 평균 판매수수료율 33.5%…현대·CJ오·롯데 순

TV홈쇼핑 6개사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33.5%로 지난해(34.0%)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36.7%)의 판매수수료율이 가장 높았고 CJ오쇼핑(35.9%), 롯데(35.4%), GS(33.8%), 홈앤쇼핑(31.1%), NS(30.5%)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GS(34.9→34.8%)와 홈앤쇼핑(32.5→31.1%)의 수수료율은 내렸지만 CJ오쇼핑(34.8→35.9%), 현대(35.4→36.7%), 롯데(35.3→35.4%) 등 4개사의 수수료율은 올랐다.

납품업체 규모별로 보면 중소기업(34.0%)이 대기업(31.4%)에 비해 오히려 평균 판매수수료율이 높았다.

롯데(대기업 30.8%, 중소기업 36.5%), 홈앤쇼핑(대기업 27.9%, 중소기업 31.6%), NS(대기업 29.7%, 중소기업 30.6%), CJ오쇼핑(대기업 35.6%, 중소기업 35.9%) 등 4개사가 중소기업에 더 높은 수수료율을 적용하고 있었다.

상품군별로 보면 셔츠·넥타이(42.0%), 여성캐주얼(39.7%), 진·유니섹스(37.8%), 남성정장(37.4%), 화장품(36.8%) 등이 높았고, 여행상품(8.4%), 디지털기기(21.9%), 아동·유아용품(28.1%) 등의 수수료는 비교적 낮았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 시대 사회문제를 고전에 녹여낸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이 오는 4월 19일(토) 오후3시30분과 오후7시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 무대에 올려진다. 세계적인 고전명작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댄스시어터샤하르 예술감독 지우영이 현대적 해석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돈키호테를 치매환자로 표현해 현 시대의 노인문제를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은 무엇인지 우리 모두에게 묻는다. 댄스시어터 샤하르의 수석무용수이자 전 LA발레단에 활동한 가수이자 발레리나 스테파니 킴이 추억의 둘시네아로 출연한다. 미스터트롯과 스테이지파이터에도 출연한 정민찬은 추억의 돈키호테로 호흡을 맞춘다. 노인 돈키호테 역은 강준하, 노인 둘시네아역 김순정 성신여대교수, 요양원장은 조윤라, 노숙자 산초 역은 박희태다. 모두 전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들이다. 특별출연으로 경찰 및 전직 발레리노 치매 노인 역을 전 유니버설발레단 주역 제임스전이 1인2역을 맡았다. 지우영 안무가는 독일유학 후 한국에 돌아와 2003 한국발레협회에서 '줄리엣과 줄리엣'으로 신인안무상을 수상한 이후 발레단을 창단해, 이강백의 칠산리를 현대적으로 각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