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강민재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4일 “이번 대선에서 누구를 지지했든 크게 통합하라는 대통령의 또 다른 의미에 따라,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취임선서 후 국민께 드리는 말씀을 통해 “우리를 갈라놓은 혐오와 대결 위에 공존과 화해, 연대의 다리를 놓고, 꿈과 희망이 넘치는 국민행복 시대를 활짝 열어젖힐 시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국민 대통합과 함께 민생·경제 회복과 실용 기조를 앞세운 국정 운영 방침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벼랑 끝에 몰린 민생을 되살리고, 성장을 회복해 모두가 행복한 내일을 만들어갈 시간”이라며,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TF를 지금 즉시 가동하고, 국가 재정을 마중물로 삼아 경제의 선순환을 되살리겠다”고 밝혔다. 이어 “민생, 경제, 안보, 평화, 민주주의 등 내란으로 무너지고 잃어버린 것들을 회복하고, 지속적으로 성장 발전하는 사회를 만들겠다”며, “국민이 맡긴 총칼로 국민주권을 빼앗는 내란은, 이제 다시는 재발해선 안 된다. 철저한 진상규명으로 합당한 책임을 묻고, 재발방지책을 확고히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이재명 제21대 대통령의 임기가 4일 오전 6시 21분을 기해 공식 개시되며 군통수권이 자동이양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전체 위원회의를 열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제21대 대통령 당선인으로 공식 확정했다. 중앙선관위는 곧이어 대통령 당선증도 교부한다. 국군 통수권을 비롯한 대통령의 권한은 임기 개시 시점에 이주호 전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으로부터 이 대통령에게 자동 이양됐다. 이번 대선은 대통령 궐위로 인한 선거로 이 대통령은 중앙선관위에서 대통령 당선인 결정안이 의결된 즉시 당선인 신분을 거치지 않고 바로 대통령 임기를 시작한다. 대통령 취임식은 4일 국회에서 치를 예정이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49.42%의 최종 득표율로 당선을 확정 지었다. 역대 대선 1·2위 후보 간 세 번째로 큰 표차 기록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일 오전 5시 현재 개표가 100% 완료된 결과 이재명 후보는 49.42%(1728만7513표), 김문수 국민의힘후보는 41.15%(1439만5639표),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8.34%(2,917,523표)를 각각 기록했다. 이 후보와 김 후보의 표차는 8.27%p(289만1874표)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보면 이 후보는 전남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고, 김 후보는 대구에서 득표율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의 경우 ▲서울 이재명 47.13% vs 김문수 41.55% ▲경기 이재명 52.20% vs 김문수 37.95% ▲인천 이재명 51.67% vs 김문수 38.44%다. 영남권은 ▲부산 이재명 40.14% vs 김문수 51.39% ▲경남 이재명 39.40% vs 김문수 51.99% ▲울산 이재명 42.54% vs 김문수 47.57% ▲대구 이재명 23.22% vs 김문수 67.62% ▲경북 이재명 25.52% vs 김문수 66.87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21대 대통령선거 개표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4일 0시 기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는 49.06%,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42.58%의 득표율을 각각 기록 중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 개표율은 48.57%로 이재명 후보가 834만455표(득표율 49.06%), 김문수 후보가 723만7700표(42.58%)를 득표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124만4043표(7.31 %),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 15만8048표(0.92%) 등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는 이재명 후보의 당선 확실을 예측했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지상파 방송 3사(KBS·MBC·SBS)가 당선 확실을 보도하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3일 “만약 이대로 결과가 확정이 된다면 국민의 위대한 결정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지상파 방송 3사의 대선 개표 방송에서 당선 확실이 예측된 직후인 이날 오후 11시 47분께 인천 계양구 자택을 나오면서 취재진에게 “아직 개표가 진행 중이어서 뭐라고 말씀드리기 섣부르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제게 주어진 큰 책임과 사명을 우리 국민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 수행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자택을 나온 이 후보는 배우자 김혜경씨와 함께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로 이동했다. 이 후보는 당사를 찾아 선대위를 격려한 뒤 대통령 당선이 확정되면 국회의사당 앞에 마련된 무대에서 수락 연설을 할 것으로 보인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지상파 방송 3사 “이재명 후보 당선 확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3일 치러진 21대 대통령선거의 최종 투표율이 79.4%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 77.1%보다 2.3%포인트 높은 수치다. 이날 선거에는 전체 유권자 4439만1871명 가운데 3524만91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투표율 79.4%은 1997년 15대 대선 최종 투표율 80.7% 이후 28년 만에 최고 기록이다. 지난 20대 대선 투표율 77.1%보다 2.3%p 높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83.9%로 가장 높았고, 제주가 74.6%로 가장 낮았다. 이밖에 ▲서울 80.1% ▲부산 78.4% ▲대구 80.2% ▲인천 77.7% ▲전남 83.6% ▲대전 78.7% ▲울산 80.1% ▲세종 83.1% ▲경기 79.4% ▲강원 77.6% ▲충북 77.3% ▲충남 76% ▲전북 82.5% ▲경북 78.9% ▲경남 78.5%로 기록됐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6·3 대선 지상파 3사(KBS·MBC·SBS) 공동 출구조사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51.7%,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39.3%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두 후보간의 격차는 오차 범위 밖인 12.4%p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후보는 7.7%,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후보는 1.3%, 송진호 무소속 후보는 0.1%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이재명 49.3% vs 김문수 40.1% ▲경기 이재명 55.8% vs 김문수 34.6% ▲인천 이재명 53.6% vs 김문수 37.4% ▲부산 이재명 42.7% vs 김문수 49.0% ▲경남 이재명 43.4% vs 김문수 48.8% ▲울산 이재명 46.5% vs 김문수 44.3% ▲대구 이재명 24.1% vs 김문수 67.5% ▲경북 이재명 28.2% vs 김문수 64.0% ▲광주 이재명 81.7% vs 김문수 10.5% ▲전남 이재명 80.8% vs 김문수 10.9% ▲전북 이재명 79.6% vs 김문수 11.8% ▲대전 이재명 51.8% vs 김문수 38.3% ▲충남·세종 이재명 51.3% vs 김문수 39.7% ▲충북 이재명 51.1% vs 김문수 40.2% ▲강원 이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제21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51.1%,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후보가 38.9%를 득표할 것이라는 채널A 예측조사 결과가 3일 나왔다. 7개 권역별로 실시한 이번 예측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에서는 이 후보가 47.6%, 김 후보가 39.5%를 득표 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천·경기 지역에서는 이 후보가 54.5%, 김 후보가 35.8%를 얻을 것으로 예측됐다. 대전·충청 지역에서는 이 후보가 50.7%, 김 후보가 38.6%, 광주·전라 지역에서는 이 후보가 81.3%, 김 후보가 11.3%를 얻을 것으로 예측됐다. 대구·경북 지역에서는 김 후보가 60.8%, 이 후보가 29.8%, 부산·경남 지역에서는 김 후보가 50.4%, 이 후보가 41.6%로 예측됐다. 강원·제주 지역에서는 이 후보가 50.3%, 김 후보가 37.7%를 득표할 것으로 예측됐다.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방송 3사 출구조사, 이재명 51.7% 김문수 39.3% 이준석 7.7%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채널A 예측조사, 이재명 51.1% 김문수 38.9%
[시사뉴스 김백순 기자] [속보] JTBC 예측조사…이재명 50.6% 김문수 39.4%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제21대 대통령선거 본투표 종료까지 1시간 남은 가운데, 3일 전국 투표율은 오후 7시 기준 77.8%로 나타나 지난 2022년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77.1%)을 돌파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7시를 기해 전국 4439만1871명의 선거인 중 1884만3816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지난달 29∼30일 실시한 사전투표를 비롯해 재외투표, 선상투표, 거소투표 1571만84명까지 합산하면 총 3455만3900명이 투표를 마쳐 전국 투표율은 77.8%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22년 20대 대선 최종 투표율인 77.1%보다 0.7%포인트(p) 높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82.9%로 가장 높고 제주가 73.4%로 가장 낮았다. 나머지 지역은 ▲서울 78.3% ▲부산 76.5% ▲대구 78.3% ▲인천 76.2% ▲대전 77.2% ▲울산 78.4% ▲세종 81.3% ▲경기 77.8% ▲강원 76.5% ▲충북 75.7% ▲충남 74.5% ▲전북 81.5% ▲전남 82.8% ▲경북 77.4% ▲경남 77.1%로 기록됐다. 한편, 본투표는 이날 오전 6시부터 오후 8시까지 전국 1만4295곳의 투표소에서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