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14 (월)

  • 흐림동두천 4.8℃
  • 구름조금강릉 5.0℃
  • 흐림서울 5.7℃
  • 맑음대전 5.1℃
  • 맑음대구 6.9℃
  • 맑음울산 7.1℃
  • 맑음광주 5.9℃
  • 맑음부산 7.9℃
  • 맑음고창 4.7℃
  • 구름조금제주 9.0℃
  • 흐림강화 6.3℃
  • 구름많음보은 1.3℃
  • 맑음금산 5.4℃
  • 구름많음강진군 3.5℃
  • 맑음경주시 6.9℃
  • 맑음거제 7.8℃
기상청 제공

경제

하나금융 김정태 회장 뒷심 발휘…1분기 업계 1위 등극

URL복사

매출 20조 넘어, 100% 이상 성장…신한ㆍKBㆍ우리금융지주 모두 제쳐
업계 유일, 영업익·순익 두자릿수 증가…“금융권, 코로나영향 미미”

 

[시사뉴스 정수남 기자] 3연임을 끝으로 내년초 용퇴가 예정된 하나금융지주의 김정태 회장이 올해 1분기 깜짝 반란을 일으켰다.

 

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하나금융지주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 20조6123억 원을 올려 전년 동기 9조8899억 원 보다 108.4% 급증했다.

 

지난해 매출 기준 업계 3위를 차지한 하나금융지주는 이로써 업계 1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기존 업계 1위 조용병 신한금융지주 회장은 18조9309억 원의 매출로 61.7%(7조2248억 원) 신장시켰지만 매출 기준 3위로 밀렸다.

 

KB금융의 윤종규 회장도 이 기간 19조2731억 원으로 56.2%(6조9358억 원) 매출이 늘리며 2위를 유지했지만, 하나금융지주 김정태 회장을 넘지 못했다.

 

올해 지주회사 재출범 2년차 손태승 우리금융지주 회장은 같은 기간 매출 11조2235억 원으로 93%(5조4072억 원) 크게 늘면서 지주회사 전환의 성공탄을 쐈다.

 

◇ 1분기 매출 20조6천억원 상회, 110% 급증…1위 올라

다만, 손 회장은 경영 능력의 척도인 영업이익과 분기순익이 각각 7733억 원, 8340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7%(607억 원), 9%(567억 원) 감소했다.

 

반면, 김 회장은 영업이익과 분기순이익에서도 업계에서 유일하게 증가세를 기록하면서 같은 기간 각각 8791억 원 6741억 원으로 17.3%(1299억 원), 21.7%(2102억 원) 급증한 것이다.

 

KB금융 윤 회장은 이 기간 각각 1조391억 원, 7389억 원으로 10.4%(1201억 원), 12.7%(1070억 원) 영업이익과 분기순이익이 줄었다. 조 회장 역시 같은 기간 이들 부문에서 각각 1조2574억 원, 9495억 원을 달성해 4%(529억 원), 1.7%(199억 원) 감소했다.

 

금융계가 영업이익을 중시하는 점을 고려하면 업계 순위는 여전히 신한, KB, 하나, 우리 순인 셈이다.

 

이로 인해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에서는 김 회장과 조 회장만 웃었다.

 

올해 1분기 이 부문에서 하나금융은 6570억 원으로 전년 동기 5640억 원 보다 20.3%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신한지주는 1.5%(9184억 원→9324억 원) 소폭 증가에 그쳤다.

 

◇ 영업익ㆍ순익서도 업계 유일 두자릿수 증가

같은 기간 KB금융은 7295억 원, 우리금융은 5182억 원으로 각각 13.7%(1162억 원), 8.9%(505억 원)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순이익이 감소했다.

 

이 같은 김 회장의 선전은 지주 주력인 하나은행의 실적 상승에 따른 것이다.

 

올해 1분기 하나은행의 매출 101.8%(7조2758억 원→14조6845억 원)과 영업이익 17.7%(6127억 원→7209억 원), 분기순이익 17%(4181억 원→5634억 원) 등은 전년 동기보다 각각 크게 늘었다.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올 들어 코로나19가 전국을 강타했지만, 금융권은 제조업보다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았다”며 “여기에 금융당국이 건전성 규제를 완화해 가계에서 비롯된 신용 경색위험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면서 실적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에 따라 선제적으로 비용 절감 등 위기에 대응한 점도 호실적을 견인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2012년 3월 하나금융회장에 취임한 김 회장은 2015년 2연임에 이어, 현재 3연임 째로 내년 3월로 임기가 종료된다.

 

김 회장은 2015년 외환은행을 성공적으로 인수한 이후, 2017년 연결기준 영업이익  2조원, 2018년 영업이익 3조원 시대를 각각 열었으며 지난해 하나금융지주의 영업이익은 3조2589억 원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부 "트럼프 상호관세 90일간 유예, 긍정적…미국에 특별대우 요청"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한다고 발표하면서 한국도 당분간은 전세계 국가들과 똑같이 10% 관세를 부과받아 한숨 돌리게 됐다. 정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 시간) 발효됐던 국가별 상호관세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힌 것에 "관세 협상을 지속해 우리 업계 영향을 최대한 줄일 여지가 확보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100%가 넘는 보복성 관세를 부과한 것에는 우리경제에 풍선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봤다. 또한 미국과 협상 타결까지는 지난한 과정을 필요로 할 것으로 보고있다.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이날 미국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특파원간담회를 열고 "우리나라에도 25% 국별 관세를 부과한다는 발표가 있었던 만큼 대미수출 여건이 크게 악화될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며 한국에는 25% 관세를 책정했다. 관세는 이날 오전 0시1분부터 발효됐다. 그런데 오후 들어 돌연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10%의 기본관세만 적용한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삼성물산·중부고용노동청, 건설현장 안전 강화 위한 업무협력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과 지난 9일 인천 연수구 래미안 송도역 센트리폴 현장에서 건설현장 안전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날 협약을 통해 삼성물산과 중부고용노동청은 ▲드론을 활용한 건설장비 점검 ▲AI 기반 중장비 위험 알림 시스템 등 스마트 안전 기술을 발굴해 건설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또 경영진이 건설 현장 점검 등 직접 안전 활동을 주도해 안전 문화가 확산하도록 하고, 회사와 근로자가 함께 참여하는 안전문화를 조성한다. 이와 함께 임금 체불 방지와 근로자 권익 보호에도 상호 협력을 확대한다. 삼성물산은 건설 현장 안전 강화 정책에 발맞춰 건설 현장에 스마트 안전 기술을 적극 도입해 현장 안전 관리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또 CEO·CSO(최고안전책임자) 등 주요 경영진이 올해 3개월간 30여회가 넘는 현장점검을 진행하는 등 안전문화 조성에 힘쓰고 있다. 민길수 중부고용노동청장은 "삼성물산이 선제적으로 스마트 안전 기술을 도입하고 경영진 중심의 안전 활동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라며 "고용노동부와 삼성물산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건설 현장 안전문화 확산과 건설업계 전체


문화

더보기
굿즈, 인디게임, 독립출판물까지... ‘캐릭터디자인페어 V.2’ 개막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다꾸빌리지가 주최·주관하는 ‘캐릭터디자인페어 V.2’가 오는 9월 20일(토)부터 21일(일)까지 이틀간 수원 메쎄에서 열린다. ‘캐릭터디자인페어’는 캐릭터와 디자인 전문 행사 기업 다꾸빌리지가 기획한 전시회로, 경력이나 인기와 상관없이 모든 창작자가 사랑받을 수 있는 무대를 마련하고자 기획됐다. 일러스트와 캐릭터를 비롯해 공예품, 독립출판물, 인디게임 등 다양한 1차 창작물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다. 지난 1월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25 캐릭터디자인페어’에는 개인 작가 및 기업 250팀과 약 6000명의 관람객이 함께했다. 다른 행사에서는 보기 어려운 독창적인 작품들이 다수 전시됐으며, 첫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한 신인 작가들의 높은 비중은 관람객들에게 신선한 감동을 선사했다. 이번 ‘캐릭터디자인페어 V.2’는 굿즈 판매에 초점을 맞췄던 1회차 행사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독립출판물과 인디게임 등 다양한 분야의 1차 창작물을 폭넓게 소개할 예정이다. 특히 유명 일러스트레이터가 직접 진행하는 강연과 더불어 제조, 유통 등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방문객과 소통하는 프로그램도 마련돼 있다. 이외에도 인디 밴드 공연, 중소 애니메이션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한덕수 총리는 구국의 결단으로 대통령 선거에 나서야 한다.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12월14일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이 청구되고 1월19일 윤 전 대통령이 구속까지 되었으나 3월7일 대통령 구속취소 후 석방, 3월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기각(5기각, 2각하, 1인용)이 선고되면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은 기각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더욱이 헌법재판소의 선고가 늦어지면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은 기각이 거의 확실시해 보인다는 것이 보수측(국민의 힘) 관측이었고, 실제로 윤 전 대통령도 거의 기각이 확실시된다고 믿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3월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9일 대표직 사퇴)의 공직선거법 2심 무죄, 4월4일 윤 전 대통령이 탄핵인용(8대0)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면서 보수(국민의힘)은 폭망했고, 분위기는 완전 ‘이재명 대통령 확실’이라는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전에도 그랬지만 특히 파면 후 실시된 대통령 적임자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전 대표는 압도적 1위를 하며, 보수 후보자 10여명의 지지율을 합쳐도 이재명 한 사람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는 이렇지만 대부분의 중도우익, 보수진영 관계자, 심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