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아제한’에서 ‘출산장려’로
대한민국의 국토면적은 1949년 9만 3634㎢에서 2007년 9만9720㎢로 6.5% 늘어났다. 여의도의 725배, 제주도의 3.3배에 이른다. 간척사업과 국토측량으로 등록되지 않은 땅까지 새로 등록됐기 때문이다. 인구는 2019만명에서 4846만명으로 2.4배 늘었다. 하지만 출산율은 급감하고 기대수명은 80세로 증가하면서 인구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5년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3.3%에 불과했다. 반면, 15세 미만 젊은 층 인구가 절반 수준에 육박(41.2%)했다. 그들이 지금 한국 경제 부활의 당당한 주역이다. 하지만 지금은, 젊은 층 인구 비중은 18.0%로 대폭 줄어든 반면, 고령 인구 비중이 9.9%로 무려 3배나 늘어 정반대 상황이 됐다.
급증하는 출산율에 ‘산아제한’을 정책으로 내세웠던 정부는, 최근 세계최고 수준의 출산율 저하문제로 골치를 앓고 있다. ‘3ㆍ3ㆍ35 운동에 참여합시다!’ 1960년대 공공기관에 일제히 내걸린 표어였다. 3년 터울로, 3명만, 35세 이전에 낳자는 것이었다. 70년대엔 ‘아들 딸 구별 말고 둘만 낳아 잘 기르자’고 했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출산율은 급감했다. ‘산아 제한’에서 ‘출산 장려’로 정책이 180도 바뀌었지만, 합계출산율은 1948년 4.53명에서 1997년 1.26명으로 곤두박질 쳤다. 이 추세라면, 2050년이면 일할 수 있는 인구가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로 심각한 위기가 아닐 수 없다.
연평균 6.8%에 이르는 경제성장률은 국민들의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켰다. 1인당 국민소득(GNI)은 1953년 67달러(현재 환율로 6만9000원)에서 2007년 2만45달러(2650만원)로, 국민총생산(GDP)는 13억달러에서 9699억달러로 수직상승했다. 위기도 있었지만 그때마다 지혜롭게 헤쳐나왔다. 1956년과 석유파동이 있던 1980년, 외환위기였던 1998년만이 마이너스 성장을 했다. 지금 5.9%의 물가상승률로 신음하지만 1948년 당시 58.3%, 한국전쟁 때 167.5%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150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유가공포’를 무색하게, 1964년 당시 원유도입가는 배럴당 2.15달러, 1970년엔 1.72달러에 불과했다.
수출로 일군 ‘한강의 기적’
아프리카 오지보다 못했던 우리나라가 세계10위권 경제대국으로 도약할 수 있었던 데는 ‘수출’이 주효했다. 1948년엔 2200만달러에 불과하던 수출이 2007년엔 3714억9000만달러로 무려 1만6886배가 증가했다. 자원이 없고 전쟁과 기아에 허덕이던 나라에서 수출을 했다는 건 대단한 일이다. 수출 주력품목도 시대에 따라 변했다. 1960년대만 해도 다람쥐, 갯지렁이, 메뚜기 등 국내에 서식하는 동식물이 수출의 원동력이었고 70년대는 아낙네들의 머리카락으로 만든 가발이 ‘수출효자’였다. 오줌에서 추출하는 ‘유로키나제’가 중풍치료제로 수출되면서는 공중화장실에 ‘여러분의 오줌이 귀한 외화를 벌어들입니다’라는 문구가 씌여 있을 정도였다. 이후 섬유, 철강, 자동차, 반도체에 이르기까지 ‘수출강국’으로 진화했다. 수입 역시 2억800만달러에서 3568억5000만달러로 1716배가 늘었다. 외환보유액도 1960년 불과 1억5700만달러에서 2007년엔 2622억2400만달러로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였다.

70년대 아파트 한대값과 맞먹던 전화기
지난 세월, 국민들의 삶을 가장 크게 변화시킨 부분이 ‘통신’이다. 요즘은 초등학생도 휴대전화를 갖고 다니지만 1970년대까지만 해도 전화 한 대 값이 대형 아파트 한 채 값을 능가해 전화기 한대는 곧 ‘부의 척도’가 되기도 했다. 1955년 전화 가입자는 불과 3만9000명. 권력자가 아니면 전화기 갖기는 불가능했다. 1960년대 초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면서 전화 수요가 폭증하자 전화값이 천정부지로 솟았다. 전화를 둘러싼 부조리가 사회문제로 대두하자 정부가 전화 매매를 금지했고, 반대 여론에 부딪혀 다시 매매를 허용하면서 신규가입자는 매매할 수 없도록 했다. 이때 나온 용어가 그 유명한 백색전화(매매 가능)와 청색전화(매매 불가능). 1978년 청색전화 신청 대기자는 60만명, 백색전화 한 대 값이 260만원까지 치솟았다. 당시 서울시내 165㎡(50평) 아파트 한 채 값은 230만원 안팎이었다. 1949년엔 인구 1000명당 불과 2명이 일반전화기를 가졌으나 2007년엔 10명 중 9명이 휴대폰을 들고 다니고 있다.
자동차는 1955년 미군 지프를 개조해 만든 ‘시발(始發)자동차’가 시초. 1962년부터는 새나라자동차가 등장했다. 1955년 1만8000대에 불과했던 자동차는 2007년 1천642만8000대로 52년 만에 913배가 됐다. 같은 기간 승용차는 3891배 늘었다.
시대에 따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직업도 달라졌다. 광복 직후 미 군정이 실시되던 당시 미군 부대에서 일하는 타이피스트는 최고 인기를 누렸다. 자원과 물자가 부족하던 시절, 전국을 누비며 고물을 사들이던 고물상이나 일확천금을 노리는 광산개발업자도 주목받는 직업이었다. 1950년대에는 전차 운전사와 전화교환원이 1등 직업군이었고, 1970년대에는 중화학공업 및 수출 입국이라는 기치를 타고 대기업과 종합상사 해외주재원, 스튜어디스들이 선망의 대상이었다. 최근에는 새로운 직업이 속속 생겨남에 따라 프로게이머와 인터넷 학습 교사 등으로 변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