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경제

화폐, 경제가치 반영 못해

URL복사
<%@LANGUAGE="JAVASCRIPT" CODEPAGE="949"%>


무제 문서





 


화폐, 경제가치 반영 못해



1만원 가치 떨어지고…10원은 돈도 아니다




33년째
최고액 화폐 1만원권


국내에 1만원권이 처음으로 발행된 것은 30년이 넘은 지난 1970년이다.

30년 이상 동일 화폐를 사용함으로써 국가 경제성장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우리나라의 화폐는 6.25사변 이후 1차 통화조치와 1952년
100대1의 평가절하 그리고 1965년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수행하면서 환가 비율을 10분의 1로 절하하는 제 3차 긴급통화조치까지 모두
세차례에 걸쳐 통화조치가 이뤄졌다.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거래규모가 확대되면서 1970년 비로소 고액은행권인 1만원권이 등장했다.

결국 1만원권 등장은 자그만치 33년전의 일이고 급격한 발전을 이룬 우리나라의 현실에서 볼때는 그 가치가 가차없이 추락했다.

1만원권의 가치하락은 통계청이 IMF이전인 1996년 발표한 ‘우리나라 경제·사회 변화상’에 잘 나타나 있다.

지난 1965년 1만원을 주고 산 물건을 현 시대에 사려면 무려 20배에 달하는 20만9,000원을 줘야할 정도로 물가가 올랐다.

이를 역산하면 화폐조치 당시 1만원의 화폐가치는 생산자물가로 따져 현재의 776원, 소비자 물가로는 480원에 지나지 않는다.

뒤집어 말하면 1965년에 1만원으로 구입할 수 있었던 품목을 1996년 구입하고자 한다면 생산자물가로는 12만8,900원에 이르는 것이다.


이러한 고액권의 가치 하락은 정부에서 수시로 발행하고 있는 각종 기념주화에서도 엿볼 수 있다.

정부가 지난 1975년 발행한 광복 30주년 화폐의 경우 백원권 백동화와 오백원권 백동화 오천원권 은화였다.

공교롭게도 이들의 화폐단위는 당시 은행권 한 장 정도에 불과했다. 하지만, 1978년 세계사격선수권대회 기념주화는 1종당 액면가격이 화폐단위가
국내에 없는 2만원으로 3년새 기념주화 액면 가격이 4배가량 늘어났다.

이 같은 기조는 1981년 서울올림픽 기념화폐에 까지 이어졌으며 1988년 올림픽을 계기로 액면은 더욱 커져 5만원에 이르는 등 1만원권의
화폐가치는 점차 줄어들고 있다.


1만원권 1990년 이후 2배이상 늘어

1990년 이후 1만원권의 사용이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990년 이후 은행권의 잔액(유통액+금융권 보유액)이 2배이상 늘어났다.

지폐의 경우 최고 고액권인 1만원권이 1990년 7조65억원에서 지난해말 21조1,055억원으로 가장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동안
5,000원권과 1,000원권이 각각 150% 103% 상승한 것과는 차이를 보인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물가가 상승한데 비해 돈의 가치가 급속히 떨어져 1만원권의 사용이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1만원권의 경우 지난 1990년 7조65억원이 잔액으로 남아 있었으나, 1993년 금융실명제를 계기로 처음으로 10조원을 돌파한 12조2,490억원을
기록했다.

여기에 지속되는 물가상승으로 1995년 15조3,245억원으로 5년만에 배를 넘어섰다. 1998년 외환위기로 인해 한차례 잔액이 감소했을
뿐 1999년 밀레니엄버그와 IMF(국제통화기금) 졸업이 맞물린 지난해 사상 최초로 21조원을 돌파하면서 고액권발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일고 있다.

이와 관련 금융권에서는 “뇌물수수 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고액권 발행은 빠른시일내에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10만원권 수표 연간 3,000억원 낭비

고액권발행 선호현상은 지난해 대한상공회의소가 조사한 통계에서 엿볼 수 있다. 당시 조사에서 81.3%의 압도적인 지지율을 기록하며 중소기업인들이
찬성하고 나선 것이다. 발행대상 고액권 화폐 종류를 묻는 질문에도 응답자의 절반에 달하는 45.0%가 5만원권과 10원권의 동시발행을 원했고,
5만원권부터 시행해야 한다는 쪽과 10만원권부터 발행해야 한다는 의견은 각각 28.1% 19.5%로 나타났을 만큼 고액권 화폐는 현실성을
위해 도입을 해야할 것으로 보여진다.

물론 고액권이 발행될 경우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뇌물수수와 호화사치유발, 과소비조장 등에서는 면밀한 검토가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 같은 장애물이 사라져 고액권이 발행되면 굳이 은행을
들러 수표발행을 하지 않아도 돼 편리성과 비용절감에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전망이다.

또 화폐개혁은 지난 1965년에 됐으나, 이에 비해 경제규모는 수십배 이상 늘어난 상태에서 국내 경제규모에 맞는 화폐단위 조정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사안이다.

현재 10만원권 수표는 연간 13억원 가량이 유통되며 유통비용도 약 3,000여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져 있다.

여기에 인건비와 간접비용 등을 고려하면 약 1조원대에 육박한다는 것이 대한상의의 진단이다.

이는 1만원짜리 지폐의 평균 수명은 54개월(4년6개월)에 달하지만 수표의 경우 짧게는 당일에서 길어도 1년 이내 폐기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폐가 효율적이라는 주장이다. 또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의 다른 회원국들의 최고액권에 비해 액면가치가 최저 10분의 1 내지 최고 710분의
1밖에 안된다는 것도 경제규모를 제대로 반영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다.


주화도 고액권 선호

이같은 고액권 선호는 주화도 동참하고 있는 실정이다.국내 주화가운데 최고액원인 500원화는 지난 1990년 1,260억원에 불과했던 것이
지속적으로 사용액이 상승 1993년 2,208억원으로 2,000억원을 돌파했고 1995년 3,000억원 돌파에 이어 지난 2001년 5,000억원을
뛰어넘은 5,049억원을 기록했다.

100원화 또한 500원화의 상승과 함께 수요가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1990년 1,753억원에 불과한 잔액이 지난해말 5,541억원을 기록 12년 동안 216% 수직 상승한 것이다.


10원은 돈인가

이에 비해 소액 주화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형편이다. “언제부턴가 은행에선 정기예·적금 해지시 일원짜리 안주고 반올림해서 주는데 무슨 조환지
모르겠다”

서울 명동에 근무하는 한 직장인의 말이다.

“버스를 타고 출퇴근하는데 현금으로 계산할 경우 끝전 20원이 남는다. 하지만, 나는 버스를 타면서 20원을 돌려 받은 기억이 없다”

경기도에서 잠실로 출퇴근하는 한 직장인의 얘기다. 뿐만아니라 각종 납부 고지서에도 단위가 10원단위로 끊겨 요금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 10원짜리 동전의 가치가 점차적으로 떨어지면서 화폐문화의 새로운 전기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소액 주화 설자리 잃어

고액권 선호추세로 인해 10원화와 1원화 5원화 같은 소액 주화의 경우는 현 잔액에 대한 변화가 크지 않았다.

특히 현행 유통화폐 가운데 최소단위인 1원화와 5원화의 활용도는 아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주화는 지난 1990년 16억8,300만원의 잔액을 기록했는데 12년이 지난 2002년말에는 3,700여만원 줄어든 16억4,600만원에
불과했다.

이는 1990년 이후 화폐를 찍어내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10원화와 50원화는 고액권 화폐의 급증세에 편승 발행화폐가 늘어났으나, 실거래로 이어지는 부분은 미미한 상태다.

10원화의 경우 1990년 243억원이었던 것이 2001년 500억원을 돌파한 이후 지난해말 532억원이 잔액으로 남아있다.

하지만, 책상서랍에 쌓여있는 것과 각종 물건값이 500원과 1,000원 단위 위주로 바뀌면서 100원화미만의 화폐는 서서히 설자리를 잃은
상태다.



신종명 기자 skc113@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동훈, 강화군수 보선 지원사격...탈당 후 출마 안상수에 “복당 없다”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7일 10.16 재보궐선거 지역인 인천 강화군을 찾아 군수 후보로 출마한 박용철 후보를 지원 사격했다. 한 대표는 이날 인천 강화군에서 열린 박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강화 주민의 삶을 더 개선하겠다는 마음 하나로 오신 것 아닌가. 저도 그렇다"며 "우리 당에서 강화의 일꾼으로 여러분을 위해서 함께 일할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주민이 원하는 정치를 하는 것의 출발을 강화에서 하겠다"면서 "이번 기회에 국민의힘이 어떻게 해야 강화의 힘이 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실천하겠다. 반드시 약속을 지키고 강화 주민을 생각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그는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안상수 전 인천시장을 겨냥해 "경선의 기회가 있는데도 당을 탈당해서 출마한 경우에 그건 주민들의 희망을 저버리는 행동이다. 명분없는 행동"이라며 "제가 당대표로서 이렇게 말씀드린다. 복당은 없다"고 말했다. 강화군은 국민의힘이 강한 지역이지만, 당 안팎에서는 안 전 시장 출마로 보수 표가 양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강화를 지역구로 둔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러가지 사업을 누가 하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남이동길’에서 느끼는 예술의 향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남이동길에서 ‘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이야기가 펼쳐진다.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Närt문화살롱’은 서대문구 남가좌 생활상권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재미진동네에서 주관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역 주민이 다양한 예술인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예술을 매개로 네트워킹을 형성해 지속적이고 특색있는 ‘남이동길’만의 예술문화를 조성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다회차로 나눠 진행되는 해당 프로그램은 지난 7월~8월 #1 프로그램과 #2 프로그램을 마쳤으며, 9월부터 10월까지 #3 프로그램과 #4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Närt 문화 살롱 #3 프로그램은 ‘Närt 화요 미식회; 예술 한 조각, 대화 한 스푼’이라는 주제로 9월 24일부터 10월 22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5곳의 상점에서 5회차에 걸쳐 강연을 진행한다. 강연 장소와 주제는 △1회차 ‘선휴커피’에서 ‘건축가의 시선으로 따라가는 남이동길’(건축가 김은경 소장) △2회차 ‘조조갤러리’에서 ‘K-pop과 엔터테인먼트 시장’(배드보스 컴퍼니 조재윤 대표) △3회차는 ‘노잉로스팅 하우스’에서 ‘사진과 영상예술’(사진작가 송길수) △4회차는 ‘썬공방’에서 ‘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서울시교육감선거 후보 양 진영 단일화 성공 이제는 결과가 중요하다
오는 10월 16일 치러지는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후보 선출을 놓고 보수, 진보 양 진영이 후보 단일화에 성공함으로써 이번 선거의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보수 후보 단일 기구인 ‘서울시교육감 중도우파 후보 단일화 통합대책위원회(통대위)’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조전혁 전 한나라당 의원을 단일후보로 추대했다고 밝혔다. 단일화후보로 추대된 조 후보는 “조희연표 교육정책은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인데 둘 다 처참한 실패로 끝난 실험이라고 생각한다”며 “학부모 사이에서 혁신학교는 ‘공부는 안 가르치는 학교’로 소문이 났고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권리만 일방적으로 강조하고 의무와 책무는 서술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권이 살아야지 학생의 인권도 지켜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감이 된다면 우선적으로 교권 수호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통대위의 여론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제2단일화 기구를 통한 단일화를 주장했던 안양옥 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 홍후조 고려대 교수가 이날 통대위의 결정을 전격 수용하고 중도보수 후보의 승리를 위해 기꺼이 힘을 보태겠다는 대승적인 결정을 내렸다. 안 전 회장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