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0.3℃
  • 맑음강릉 15.4℃
  • 연무서울 10.3℃
  • 맑음대전 11.1℃
  • 맑음대구 11.0℃
  • 구름조금울산 11.5℃
  • 맑음광주 12.1℃
  • 구름많음부산 12.4℃
  • 맑음고창 10.1℃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9.5℃
  • 맑음보은 8.8℃
  • 맑음금산 9.0℃
  • 맑음강진군 12.6℃
  • 맑음경주시 12.3℃
  • 구름많음거제 10.8℃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경상북도 영양군 2023년 본예산 역대 최대 규모 3,883억원 편성, 의회제출

URL복사

군민건강 및 안전 보장과 침체된 지역경제활성화에 중점두고 편성

 

[시사뉴스 김재홍 기자] 경북 영양군(군수 오도창)은“군민건강과 안전을 보장하고 침체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2023년 본예산 3,883억원을 편성해 영양군 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427억원(12.36%) 증가한 수치로, 회계별로는 일반회계가 407억원(13.2%) 증가한 3,487억원, 특별회계가 20억원(5.32%) 증가한 396억원이다.

 

이번 예산은 고물가 및 경기둔화 등 비상경제상황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군민들의 생활안정, 지역 경제의 활성화, 일자리 창출을 통한 고용 확대, 농어촌의 소득 향상 등 침체된 지역경기를 회복하고자 가용재원을 최대한 확보하여 편성했으며, 더불어 군민건강과 안전을 위한 예산도 주안점으로 두어 편성했다.

 

 

특히, 민선 8기 첫 본예산인 이번 예산에서는 주요공약사업과 시책사업 추진을 위하여 영양군수와 지역 국회의원과의 협조체계 구축 및 공무원들의 적극적인 공모사업 발굴 등 국비 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으며, 그 결과로 2022년 당초예산 국비 709억원 대비 195억원(27.5%) 증가한 904억원의 국비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주요 사업 내용으로 ▲영양군민안전보험(1.1억원) ▲영양군50세이상군민건강검진비지원(7.5억원) ▲농작물재해보험료지원(26억원) ▲농어민수당지원(24억원) ▲홍고추출하농가품질개선장려금지원(10억원) ▲노인일자리및사회활동지원(46억원) ▲기초연금지원(206억원) ▲노후경로당현대화및입식문화조성(3.2억원) ▲아이돌봄수당및서비스(19억원) ▲영양도서관건립(59억원) ▲농산물유통시설(저온저장고)신축(20억원) ▲농업근로자기숙사건립(12억원) ▲배드민턴전용구장건립등체육시설개보수및건립(58억원) ▲영양밤하늘청정에코촌조성사업(100억원) ▲영양자작나무숲힐링허브조성사업(15억원) ▲동부리농촌공간정비사업(27억원) ▲수비죽파지방상수도확장사업(30억원) ▲영양정주형작은농원조성사업(28억원) ▲수중재활센터구축(46억원) ▲빛깔찬일자리지원센터증축(15억원) 등을 편성했으며

 

이에 따라, 분야별로 농림해양수산 분야(18.73%), 환경 분야(15.95%), 사회복지 분야(15.11%), 국토및지역개발 분야(9.75%) 순으로 편성됐다.

 

오도창 영양군수는 “인플레이션과 경기둔화로 인한 지역경제 회복과 위기 극복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 지방 재정의 역할이 중요하다”며 “열악한 재정여건 속, 한정된 재원으로 편성된 예산인 만큼 낭비되지 않고 목적에 맞게 쓰이도록 집행에도 철저를 기하겠다”고 밝혔다.

 


Yeongyang-gun, Gyeongsangbuk-do (Governor Oh Do-chang) said, "We have compiled 388.3 billion won in 2023, the largest-ever budget, to ensure the health and safety of the residents and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sluggish local economy."

 

The figure increased by 42.7 billion won (12.36%) year-on-year, with general accounts rising 40.7 billion won (13.2%) to 348.7 billion won and special accounts rising 2 billion won (5.32%) to 39.6 billion won.

 

The budget was designed to secure as much available resources as possible to recover the sluggish local economy, such as stabilizing the lives of residents suffering from high prices and economic slowdown,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expanding employment through job creation, and improving income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In particular, the budget, the first main budget of the 8th popular election, continued to secure state funds by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Yeongyang-gun County and local lawmakers and actively finding public offering projects, up 19.5 billion won (27.5%) from 70.9 billion won in 2022.

 

Major projects include ▲ Nutrition County People's Safety Insurance (110 million won) ▲ Nutrition County People's Health Examination Expense Support (750 million won) ▲ Agricultural accident insurance premium support (2.6 billion won) ▲ Agricultural and Fishermen's Allowance Support (1 billion won) ▲ Elderly Job and Social Activity Support (4.6 billion won) ▲ Basic Care Center ▲ 2 billion won.It organized a market project (3 billion won) ▲ Nutrition-type small farm creation project (2.8 billion won) ▲ Underwater Rehabilitation Center construction (4.6 billion won) ▲ Colorful Job Support Center expansion (1.5 billion won).

 

Accordingly, the agriculture, forestry, marine and fisheries sectors (18.73%), environmental sectors (15.95%), social welfare sectors (15.11%), and land and regional development sectors (9.75%) were organized in order.

 

"The role of local finance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o recover the local economy and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inflation and the economic slowdown," said Oh Do-chang, head of Yeongyang County. "We will also make sure that it is not wasted and used for purpose as it is a budget with limited financial conditions."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정부, 상법 개정안 재의요구안 의결…한덕수 대행, 재가 예정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정부가 1일 상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안을 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상법 개정안에 대한 재의요구안을 심의·의결했다. 상법 개정안은 지난달 13일 야당 주도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21일 정부로 이송됐다. 법안 공포 또는 재의요구 시한은 오는 5일까지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처리하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야권의 재탄핵 추진 가능성 등을 고려해 정기 국무회의에서 처리한 것으로 전해졌다.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 의무 주주 확대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재계는 상법 개정안이 소송 남발, 행동주의펀드 공격 수단이 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투자를 위축시킨다는 이유 등을 들며 반대하고 있다. 반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직을 걸고 대통령 권한대행의 재의요구권(거부권) 행사에 반대하고 나서며 양측 입장이 대립하는 상황이다. 한 대행은 경제6단체장 등 재계 관계자들을 만나 상법 관련 의견을 들었다. 또한 이날 국무회의에 앞서 국무위원 간담회를 소집해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관련 의견을 모은 끝에 거부권을 행사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한 대행은 곧 재의요구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현 시대 사회문제를 고전에 녹여낸 창작발레 '돈키호테의 사라진 기억들'이 오는 4월 19일(토) 오후3시30분과 오후7시 마포아트센터 아트홀맥 무대에 올려진다. 세계적인 고전명작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를 댄스시어터샤하르 예술감독 지우영이 현대적 해석으로 각색한 작품이다. 돈키호테를 치매환자로 표현해 현 시대의 노인문제를 이야기하는 이 작품은 삶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아 있는 단 하나의 기억은 무엇인지 우리 모두에게 묻는다. 댄스시어터 샤하르의 수석무용수이자 전 LA발레단에 활동한 가수이자 발레리나 스테파니 킴이 추억의 둘시네아로 출연한다. 미스터트롯과 스테이지파이터에도 출연한 정민찬은 추억의 돈키호테로 호흡을 맞춘다. 노인 돈키호테 역은 강준하, 노인 둘시네아역 김순정 성신여대교수, 요양원장은 조윤라, 노숙자 산초 역은 박희태다. 모두 전 국립발레단 수석무용수들이다. 특별출연으로 경찰 및 전직 발레리노 치매 노인 역을 전 유니버설발레단 주역 제임스전이 1인2역을 맡았다. 지우영 안무가는 독일유학 후 한국에 돌아와 2003 한국발레협회에서 '줄리엣과 줄리엣'으로 신인안무상을 수상한 이후 발레단을 창단해, 이강백의 칠산리를 현대적으로 각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