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도 많았고 탈도 많았던 인사 청문회 결과 총리와 2명의 장관 후보자들이 자진사퇴를 하기도 했다.
이번 인사청문회에서 새롭게 스타의원으로 떠오른 민주당 박영선 의원은 “후임 총리는 무엇보다도 도덕에 기반을 둔 정치를 하실 수 있는 분이 와야 된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사실은 부족하지만 국민의 준엄한 경고라는 차원에서 봤을 때는 그 나름대로 의미도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며 “어느 청문회보다도 가장 제보가 많이 들어온 청문회였고, 제보자들이 본인의 신분을 밝히고 전화번호를 남겨놨으며, 그 제보들을 확인해보니까 거의 80% 이상이 정확했다”고 설명했다.
의원들의 자료제출 요구에 후보자나 관련 기관이 거부와 지연에 대해 “국회의 증인으로 채택이 된 경우에 출석하지 않은 사람에 대해서 보다 더 강제규정이 도입돼야 된다는 것은 국회의원 그리고 국민 모두가 지금 공감하고 있는 부분”이라며 “청와대 인사검증시스템에 문제 책임론이 뒤따라야 될 것이라고 생각이 되고 이러한 허술한 인사검증이 지속된다면 낙마도 계속 반복적으로 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박 의원은 “낙마에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본인에 대한 상처고 국민에 대한 상처”라며 “반드시 제도가 개선이 돼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김태호 총리 전 후보자의 불법과 관련한 의혹들에 대해 “원칙적으로 법을 위반한 상황에 대해서 사법적 판단을 구해서 공직사회의 경종을 울리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며 “야당 특위청문위원 6명의 공통된 견해는 박연차 게이트와 관련해서 아직까지 풀리지 않고 있는 의문, 검찰의 부실수사 의혹, 이 부분은 반드시 규명해야 되는 것 아닌가, 여기에는 의견이 현재 모아져있다”고 설명했다.
후임총리에 대해서는 “도덕성이라는 것이 기반이 되지 않으면, 그러한 철학이 깔려있지 않으면 이것이 지속적인 성장을 할 수 없다는 국민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어가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차명계좌 발언을 한 조현오 경찰청장에 대해 “실제로 특검 안을 제출을 하라는 요구가 있을 경우 언제든지 응하겠다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