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최고 수준의 과학벨트 조성을 위한 프로젝트의 기본계획이 마련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오는 5일 과학벨트특별법이 발효될 것으로 7일 과학벨트위원회 1차회의를 가질 예정이다.
지난해 한나라당의 단독 처리된 과학벨트특별법에 따르면 입지선정을 비롯 기본계획은 과학벨트위원회가 심의해 결정한다고 하고 있다.
교과부장관을 위원장으로 관계부처 차관 6명과 교수진을 비롯 민간 전문가 13명 등 20명으로 구성된 과학벨트위는 앞으로 과학벨트의 입지 및 예산, 재원 조달방법, 콘텐츠 등을 심도있는 논의를 통해 기본계획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산하 분과위로는 ‘입지평가위와 기초과학연구원 위원회’가 설치되고 과학벨트 입지는 입지평가위가 결정할 것으로 상반기에 입지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과학벨트 입지 선정과 관련해 유치전에 나서고 있는 곳은 충청권을 비롯 호남권,대구.경북권,경남권,경기권 등으로 각 지자체별로 지역균형발전의 논리를 주장하며 과학벨트의 분산배치를 요구하고 있어 충청권의 강한 반발이 사고 있다.
이에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는 조만간 대전에서 “과학벨트 사수결의 등반대회’를 열고 ‘과학벨트가 대통령의 대선공약이자 한나라당의 총선공약이었던 약속을 지키도록 충청권 입지를 원안대로 시행하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