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20 (일)

  • 맑음동두천 10.0℃
  • 흐림강릉 9.4℃
  • 박무서울 10.1℃
  • 흐림대전 15.1℃
  • 구름많음대구 19.3℃
  • 구름많음울산 16.1℃
  • 광주 16.7℃
  • 흐림부산 17.2℃
  • 구름많음고창 13.9℃
  • 흐림제주 18.2℃
  • 맑음강화 7.1℃
  • 흐림보은 15.0℃
  • 흐림금산 15.5℃
  • 흐림강진군 17.1℃
  • 구름많음경주시 13.3℃
  • 흐림거제 17.1℃
기상청 제공

커버스토리

자고 일어나니 ‘싸이 월드’

URL복사

짧은 시간 세계적 스타로 떠올라... 유튜브, SNS, 한류 등 문화 이슈 집약

가수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전 세계를 들썩이게 하고 있다. ‘강남스타일’은 7월15일 발매한 지 72일 만에 유튜브 조회수 2억5천만 건을 달성, 영국 UK차트 1위, 중국 음악 차트 1위,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3주째 2위 등 경이적인 기록 행진을 이어나가고 있다. 짧은 시간에 엄청난 열풍을 일으킨 점도 놀랍지만, 본격적인 진출 없이, 한국어로 된 노래로 이루어낸 기록이란 점에서 더욱 경이롭다.

◆미국인 90% 이상이 ‘강남스타일’ 보거나 들어

실제로 미국인 90% 이상이 ‘강남스타일’을 ‘알고 있다’고 말해, ‘강남스타일’은 지구촌의 강력한 이슈이자 문화 트렌드임을 입증했다. 한국관광공사는 팝뮤직의 중심지인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강남스타일’과 관련한 설문을 실시했다. 10월6일 뉴욕에서 열린 코리아퍼레이드 행사 참가자 및 LA 거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번 조사는 뉴욕과 LA 각각 100명씩의 응답자를 표본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의 90% 이상이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보거나 노래를 들어본 적이 있다고 답변, 강남스타일의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해외문화 홍보원이 제작한 싸이 동영상도 올린지 3일 만에 조회 수 7백만 건 돌파 했다. 한 네티즌은 “이게 아길레라를 비롯해서 월드스타들 눈물 쏟게 만든 한국 떼창의 진수다. 상상초월, 10만 명이 부르는 떼창. 이 동영상이 내가 진정으로 보고 싶었던 광경이다”며 극찬하기도 했다. 동영상은 지난 4일 시청광장의 싸이 콘서트 현장을 직접 찍은 것으로 유튜브에 올린 지 3일 만에 241개국에서 이 동영상을 시청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정부 기관이 올린 동영상으로서는 이례적인 기록이다.

해외문화홍보원이 제작한 이 동영상은 미국 백악관의 유튜브 채널 ‘WH Channel'에서도 받아 올렸으며, 미국 NBC, 빌보드닷컴, MSN 등 8개 이상의 유력 외신들이 관련 기사와 함께 게재했다.

◆폭발적인 조회수

해외문화홍보원의 동영상이 확산된 경로를 보면, 싸이의 위력을 다시 한 번 실감하게 된다. 싸이가 해외문화홍보원의 동영상을 자신의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올리자, 싸이의 해외 매니저 ‘스쿠터 브라운’은 즉각 자신의 트위터에 이 동영상을 링크해 소개했다. 싸이와 스쿠터 브라운이 트위터에 올린 동영상은 각각 2,082건과 1,178건이 리트위트되었고, 싸이 페이스북의 경우에는 45,927건의 ‘좋아요’와 함께 ‘공유’ 1,090회를 기록하는 등 SNS로 확산됐다.

해외문화홍보원이 올린 이 동영상은 ‘강남 스타일’에 대한 애정을 넘어 한국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게재된 13,394건이 넘는 댓글을 보면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 기간 동안의 붉은악마 단체 응원에 대한 관심과 부러움을 넘어서고 있다. 많은 외국인들은 댓글을 통해 한국 국민들의 즐길 줄 아는 콘서트 문화를 ‘다이내믹 코리아’라고 정의하면서 싸이의 ‘강남 스타일’을 넘어 한국을 사랑한다는 내용의 댓글을 남기고 있다. 또한 많은 외국인들이 힘이 넘치는 한국에 가고 싶다는 내용의 글을 남기고 있다.

시청률조사회사 AGB닐슨미디어리서치는 싸이에 대한 관심이 시청자들의 TV시청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시청률과 온라인 키워드 확산량 조사를 통해 알아보았다.

10월4일 싸이의 시청공연을 생중계한 newsY의 시청률은 3.759%을 기록했다. 동시간대 최근 3개월 newsY 채널 평균 시청률인 0.408%(전국/케이블가입가구기준)에 비해 약 3% 상승했다. 당일 전체 케이블 채널 시청률이 0.118%(전국/케이블가입가구기준)임을 감안할 때 높은 수치다.

◆갈 때까지 가보자

싸이의 영향력은 지상파TV 시청률에까지 이어졌다. SBS는 10월7일 밤 11시14분 싸이의 시청광장 공연을 녹화 방송한 ‘싸이특집쇼, 갈 데까지 가보자’를 방송했다. 이날 방송의 시청률은 11.2%(수도권/가구기준)를 나타냈다. 이 역시 동시간대 방송된 프로그램의 최근 3개월 시청률 6.8%(수도권/가구기준)보다 높다.

싸이가 영향을 미친 것은 TV뿐만이 아니다. 열풍은 온라인에서 먼저 시작됐다. 이슈화된 정보가 짧은 시간 안에 급격히 확산되는 현상을 지칭하는 온라인 버즈를 분석하면 싸이 열풍을 실감할 수 있다. 싸이의 앨범 발매 일에 10,109건을 기록했던 버즈량은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가 유튜브에서 조회수 월간 1위를 기록한 8월15일, 20,464건을 기록했다. 싸이에 대한 관심도는 멈추지 않았다. 싸이가 빌보드 2위에 오르자 버즈량은 38,794건으로 증가했고, 싸이의 시청공연이 있던 10월4일 50,860건을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강남스타일’이 짧은 시간 내에 전 세계인을 폭발적으로 사로잡은 이유는 중독성 있는 리듬과 따라하기 쉬운 멜로디, 재미있는 뮤직비디오, 그리고 이미 포진한 K-POP 팬들의 적극적 전파, 유튜브 및 SNS를 통한 재생산 등을 꼽고 있다.

한류연구소 한구현 소장은 “유튜브에서의 위대한 성과는 살아있는 전설이 되어 영원히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게 될 것이다”라며 싸이 열풍에 큰 의미를 부여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제21대 대통령 선거/국민의힘】 1차 8명 경선 레이스 시작...범보수 구심점은 누가?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국민의힘은 지난 16일 8명의 1차 경선 진출자를 발표했다. 1차 경선 후보자는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나경원 의원 ▲안철수 의원 ▲양향자 전 의원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 등 8명이다. 4명으로 후보가 추려지는 1차 경선(컷오프)은 22일 발표된다. 1차 경선 방식은 ‘일반 국민 여론조사 100%’인데, 역선택 방지 조항을 적용해 타 정당 지지층을 배제한 국민의힘 지지층과 무당층을 대상으로 실시된다. 한편,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여론조사에서 범보수 대선 후보 1위로 나오며, 이재명 후보의 대항마로 떠오르고 있다. 경선 미디어데이 개최...“이재명 막을 것” 국민의힘은 17일 제21대 대통령 선거 1차 경선 토론회 A조에 유정복·안철수·김문수·양향자 대선 경선 후보가, B조에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를 각각 편성했다. 후보자들은 각자 행사장에 도착한 순서에 따라 자신의 조와 번호를 선택했다. 안철수·김문수·유정복·이철우·나경원·양향자·한동훈·홍준표 후보 순이다. 각 조마다 다른 토론 주제를 두고, 본인의 상대를 직접 결정하는 방식이다. A조의 주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봄철 찾아오는 미세먼지와 큰 일교차, 심장 관리 필수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꽃샘추위가 지나가고 화창하고 따스한 햇살을 만끽할 수 있는 봄이 우리에게 성큼 찾아왔다. 봄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야외 나들이를 기대하는 동시에, 꽃가루와 미세먼지로 인한 알레르기 비염이나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걱정하곤 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덜 알려졌지만, 우리의 건강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질환이 있다. 바로 심혈관질환이다. 심혈관질환이란 심장과 주요 동맥에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을 의미하며 고지혈증, 부정맥, 협심증, 심근경색증 등이 있다. 심장 근육이 활발히 움직이기 위해서는 혈액 공급을 원활하게 받아야 하는데, 이 혈액 공급을 담당하는 혈관이 바로 심장의 관상동맥이다. 관상동맥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해 해당 부위가 혈류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해 손상되게 되면 심혈관질환이 발생한다. 전 세계 사망원인 1위이자 국내 사망원인 2위인 심혈관질환은 기온이 뚝 떨어지는 겨울에 위험성이 높다고 인식되어 있다. 그러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심혈관질환 환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3월로, 총 346,778명이 병원을 방문했다. 가장 환자 수가 낮은 9월과 비교했을 때, 33,914명의 차이를 보인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