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6.26 (수)

  • 구름조금동두천 29.3℃
  • 맑음강릉 28.2℃
  • 구름조금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27.8℃
  • 구름많음대구 28.3℃
  • 구름많음울산 27.3℃
  • 구름많음광주 28.4℃
  • 구름많음부산 26.3℃
  • 구름조금고창 28.3℃
  • 흐림제주 25.0℃
  • 맑음강화 27.4℃
  • 구름조금보은 27.2℃
  • 구름조금금산 27.5℃
  • 구름많음강진군 27.8℃
  • 구름많음경주시 29.6℃
  • 구름많음거제 26.0℃
기상청 제공

정치

軍, 예비탄약 턱없이 부족…1주일이면바닥?

URL복사

육·해·공군 전투예비탄약, 일주일이면 동나
손인춘 의원 “軍 무기체계 획득 원칙 세워야”

[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우리 군의 전투예비 탄약이 전쟁 개시 일주일이면 대부분 바닥을 드러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공군의 일부 공대지유도탄이 최장 15일치를 보유하고 있지만 지상군의 도움 없이 전투기만으로 전쟁을 치를 수는 없는 노릇이라 문제로 지적된다.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손인춘 의원(비례대표)이 15일 육·해·공군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길면 15일, 짧으면 3~4일 안에 예비탄약이 모두 소진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실상 실탄도 없이 적과 맞서서 '총성 없는 전쟁'을 치러야 하는 형국인 셈이다.

군은 군수품 비축 훈령 1340호에 따라 전투예비탄약의 경우 기준 보유일수를 60일로 삼고 있다. 하지만 전투예비탄약 보유량은 국방 재원 마련이 어려워 이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결국 군은 목표 60일 분량 확보가 아닌 기준치 30일 분량을 확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육군의 경우 대화력전의 슈터 역할을 하는 최신예 K-9 자주포의 신형 'HE BB(항력감소 고폭탄)'탄과 'DP-ICM BB(항력감소 이중목적개량 고폭탄)'탄은 전쟁 시작 일주일이면 바닥을 드러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육군은 일주일이 아닌 8일치를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하루 이틀 사이의 문제일 뿐 예비탄 보유량이 적은 것은 매한가지다. 이들 탄은 화력과 대인살상능력이 월등하기 때문에 북한 장사정포를 겨냥해 전방에 배치돼 있다.

또한 다련장 MLRS탄의 경우 차기 탄약으로 대체해 내년 이후 전력화가 예정돼 있다. 하지만 차기 다련장은 예산부족으로 목표의 54%만 확보한 상태다.

해군 역시 전투예비탄약이 부족하긴 마찬가지다. 손 의원이 '해군 주요 전투예비탄약 보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 30일의 6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1300t급 규모(KSS-Ⅰ이상급) 잠수함에 탑재해 원 거리 적 수상함 공격용으로 운용하는 사정거리 120㎞인 '잠대함유도탄'도 일주일을 넘기기 어렵다. 4200t급(KDX-II이상급) 수상함에 탑재해 원거리 적 잠수함 공격용으로 운용되는 함포탄인 사정거리 20㎞의 '홍상어'는 고작 3~4일이면 바닥난다.

잠수함의 경우 북한이 76대인데 비해 우리는 12대로 북한이 6.3배나 많은 상황이다. 하지만 적 잠수함 잡는 탄약 보유일은 일주일이 안 된다. 전쟁이 일주일 안에 끝나면 모르지만 그 이상 길어지면 초토화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특히 사정거리 23㎞로 3500t급 KDX-I 이상급 수상함에 탑재해 대함, 대지 함포지원용으로 운용하는 '120mm 함포탄' 역시 일주일 안에 바닥난다. 게다가 지난 3월1일부터 K-2012 전시탄약소모율을 적용받고 있어 지속일수도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 같은 사정은 공군도 마찬가지였다. 손 의원이 '공군의 전투예비탄약 보유 현황'을 분석한 결과 기준치 30일 분량의 6분의 1에도 못 미치는 공대공유도탄과 공대지유도탄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력 전투기인 F-15K의 공대공유도탄 AIM-9X와 F-15K와 KF-16의 공대공유도탄 AIM-120의 보유일수도 일주일이 채 못 됐다. F-5의 공대지유도탄 KGGB의 보유일수도 일주일을 넘기지 못했다.

또한 F-15K와 KF-16의 공대지유도탄 GBU-31와 F-15K의 공대지유도탄 GBU-39의 보유일수도 9일과 15일 정도에 그쳤다. 그나마 낮춰 잡은 기준일인 30일치의 절반에 불과한 것이다. 특히 킬 체인(Kill Chain) 전력으로 정밀유도무기 사용이 늘고 있음에도 현재 우리 군의 정밀유도무기 보유비율은 11% 수준에 불과했다.

손 의원은 “잠수함, 구축함, 보라매사업, F-X사업, K-9자주포, 차기다련장 등 수 십 조원 대의 사업에만 전념할 것이 아니라 실탄부터 채워야 한다”며 “매년 35조 이상의 국방예산, 10조원에 달하는 방위력개선비를 사용하는데 실탄이 부족하다는 것은 심각한 문제다. 국방부와 군은 무기체계 획득에 분명한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테너 브라이언 재이드, 오페라 <어게인 2024 투란도트> 합류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2024투란도트문화산업전문회사가 제작해 12월 공연하는 오페라 ‘어게인 2024 투란도트’에 브라이언 재이드(Brian Jagde)가 테너로 합류한다. 브라이언 재이드는 미국의 오페라 테너로, 샌프란시스코 오페라,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로얄 오페라 하우스, 리릭 오페라 시카고,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 산타페 오페라, 드로이트 오페라 베를린, 비엔나 국립 오페라, 테아트로 마시모,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 등 세계 주요 오페라 하우스에서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로 뉴욕 롱 아일랜드에서 태어난 그는 샌프란시스코 오페라의 메롤라 영 아티스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이어 세 번 연속으로 앳러러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2012년에는 플라시도 도밍고의 오페랄리아 경연대회에서 2등을 차지하며 바그리트 닐슨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또한 2014년에는 로렌 L. 자커리 경연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코벤트 가든, ‘나비부인’의 핑커톤, 시카고 리릭 오페라에서 ‘토스카’의 카바라도시, 테아트로 디 산 카를로에서는 ‘카르멘’의 돈 호세, 휴스턴 그랜드 오페라에서 ‘루살카’의 왕자, 베를린 도이처 오페라에서 ‘토스카’의 카바라도시역으로 출연했다. 그 외에

오피니언

더보기
중앙아시아 3개국 순방의 성과를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10일부터 5박 7일간 올해 첫 해외순방지로 중앙아시아 3개국(투르크메니스탄·카자흐스탄·우즈베키스탄) 순방을 마치고 16일 새벽 돌아왔다. 윤 대통령은 지난 10일 출국해 10~11일 투르크메니스탄, 11~13일 카자흐스탄, 13~15일 우즈베키스탄을 방문해 각국 정상들과 연이어 회담을 했다.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으로 중앙아시아 3개국과 한국 간 에너지·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국내 순수기술력으로 생산한 고속철도를 수출하는가 하면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를 진행하기로 하는 등 K-실크로드 협력에 대한 중앙아시아 3개국의 지지를 이끌어내는 순방 성과를 도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각국 정상회담 결과 투르크메니스탄에서는 현대엔지니어링과 투르크메니스탄 국영가스공사의 갈키니쉬 가스전 4차 탈황설비 기본합의가 성사됐다. 카자흐스탄에서는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양해각서(MOU) 체결에 성공했다. 우즈베키스탄에서는 현대로템과 우즈베키스탄 철도공사 간 고속철도 6 편성 공급계약이 성사됐다. 국내 기술로 만든 KTX 이음의 첫 해외 수출이다. 내년에는 사상 처음으로 한-중앙아시아 정상회의를 진행할 계획인데 윤 대통령이 이번에 방문한 3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