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6.4℃
  • 맑음강릉 16.1℃
  • 맑음서울 16.8℃
  • 맑음대전 18.6℃
  • 맑음대구 16.9℃
  • 맑음울산 12.7℃
  • 구름조금광주 18.7℃
  • 구름조금부산 15.1℃
  • 맑음고창 13.3℃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강화 12.2℃
  • 맑음보은 16.4℃
  • 구름조금금산 17.4℃
  • 맑음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4.8℃
  • 구름조금거제 13.5℃
기상청 제공

지역네트워크

김천대, 소방학전공 창업 성공 스토리 코리아소방(주)

URL복사

 

[시사뉴스 정은주 기자] 김천대학교(총장 윤옥현) 소방학과를 졸업하고 소방분야 창업에 성공한 코리아소방(주) 김종섭 대표가 자랑스런 소방학전공 동문으로 명성을 쌓아가고 있다. 코리아소방(주)는 경기도 수원시 인계동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김천대학교 소방학전공 졸업생들이 중심이 되어 창업한 후,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11월 5일 새로운 사옥을 신축하여 본사를 확장 이전함으로써 관련 업체들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사옥 신축은 2015년 창업 이후 가장 큰 경사로, 안정적인 사무 및 작업 공간을 확보하게 되었다.       

  

김종섭 대표는 김천대학교 소방학전공 ’03학번으로 ‘05년 졸업했다. 문경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소방분야의 최고 현장전문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김천대에 진학했으며, 이후 수년에 걸쳐 소방설비기사(기계, 전기분야) 자격증을 취득하였고, 전문기술을 인정받아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등에서 소방분야 강사로 위촉돼 활동하고 있다.
 
김종섭 대표의 성공 전략은, '작은 일에 충실할 것'이다. “작은 시장을 접수하라. 인지도가 쌓이고 충성고객이 쌓이면 그것이 성장의 발판이 된다. 그 후 점진적으로 인접 시장으로 확대해간다”는 원칙을 지켜왔다. 많은 경쟁기업이 있지만 작은 일부터 정성을 기울여 작은 시장부터 신뢰를 쌓아온 것이다. 그를 접한 관계자들의 입소문으로 한국철도공사 인재개발원 강사로 위촉되었고, 전문가로서의 면모를 세워가고 있다. 지역사회봉사 부분에도 관심을 기울여 경기도의회 의장상을 수상하는 등 기업인으로서 뿐만아니라 사회 봉사자로서도 모범이 되고 있다. 
  
한편 김천대학교 소방학전공 과정은 지난 1992년 개설 이후, 200여명의 소방공무원을 배출해 왔고,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기업의 소방안전관리자 및 소방시설 설계, 공사, 감리 등 전문기술분야의 기술인 양성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여러명의 소방시설관리사, 소방기술사 등을 배출하고 기업인으로 성공한 동문들도 많아 소방 명문대학으로 자리잡고 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전자칠판 납품 업체로부터 금품 받은 인천 시의원 2명 구속 기소
(사진=뉴시스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전자칠판 보급사업 납품 비리 의혹' 사건과 관련 뇌물을 주고받은 혐의로 구속된 현직 인천시의원 2명과 전자칠판 업체 대표가 검찰에 넘겨졌다. 인천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계는 1일 인천시의회 소속 조현영(50) 시의원과 신충식(51) 시의원, 전자칠판 업체 대표를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상 뇌물 혐의 등으로 구속 송치했다. 경찰은 또 전자칠판 업체 관계자 2명을 뇌물공여 혐의로, 공범 4명을 범죄수익은닉의 규제 및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 경찰에 따르면 조 시의원과 신 시의원은 인천교육청의 전자칠판 보급사업에 참여한 업체의 납품을 돕고 그 대가를 챙긴 이른바 리베이트 행위를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업체 대표 관계자 등은 인천시의원 2명에게 금품을 제공하거나 범행 수익을 챙긴 혐의다. 이들은 인천 지역 학교에 전자칠판을 납품할 수 있도록 해당 업체를 지원하고, 그 대가로 납품 금액의 약 20%를 리베이트 형식으로 챙긴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시의원들이 3억8000만원을 업체 관계자에게 요구했으나, 실제론 2억2000만원 상당의 금품을 받은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경찰은 지난해 9월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