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의 재총선 결과 유로존 잔류를 선택한 가운데 우리나라의 EU수출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보고 결과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IIT)는 18일 '유로재정위기 향방과 우리 수출에 대한 영향'보고서를 통해 "최근 유로존 재정위기 범위가 그리스에서 주변국으로, 정부 재정 건전성에서 민간 부채부담으로, 단기 유동성에서 장기 채무상환 문제 등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세계경제는 당분간 침체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리스는 총선 이후 세 가지 시나리오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첫째로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그리스 국가디폴트 선언, 유로존 해체시 선진국의 더블딥과 장기 경제침체가 예상된다.
둘째 유로존 체제는 지속되지만 그리스가 국가디폴트를 선언할 경우 세계경제성장이 정체되고 국제공조에 난항을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셋째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로 그리스가 유로존에 잔류할 경우에도 세계경제의 저성장이 지속되고 금융시장의 불안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긴축정책에 찬성하는 신민주당이 17일(현지시간) 치러진 그리스 2차 총선에서 승리함에 따라 그동안 국제사회를 긴장시켰던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은 크게 줄어들게 됐다.
하지만 긴축에 계속 반발하고 있는 시리자가 확고한 제2정당에 올랐섰고 새 정부의 각종 정책을 견제함에 따라 그리스 정국도 게속 불안한 모습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아울러 유로존의 재정위기가 EU경기침체로 이어지면서 우리 수출에 직간접적으로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협회는 당분간 지속될 세계경제의 불확실성 증대에 따라 유가 등 국제원자재가격과 환율의 변동성에 대응해 자구책을 모색하고, 정부 및 수출유관기관은 수출기업들이 직면한 무역애로 상황을 면밀히 검토해 선제적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장기적으로 우리 경제의 내성을 키우기 위한 체질개선과 구조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지상 국제무역연구원 수석연구원은 "향후 EU의 대 세계 수입이 10% 감소할 경우 우리나라의 EU수출이 5.5% 감소할 것이며, 중국의 대세계 수출액 중 18.7%가 대EU 수출인 점을 고려하면 중국의 EU수출이 10% 감소할 경우 우리나라의 대중국 수출이 4.9% 감소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그리스의 유로존 잔류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유로존 재정위기에 따른 현지 수입수요 감소는 불가피한 상황이며 우리나라의 대EU 수출감소와 대중국 수출부진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