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0.4℃
  • 맑음강릉 3.6℃
  • 맑음서울 2.3℃
  • 맑음대전 3.0℃
  • 맑음대구 5.3℃
  • 맑음울산 4.6℃
  • 맑음광주 5.4℃
  • 맑음부산 6.0℃
  • 맑음고창 5.2℃
  • 구름조금제주 8.7℃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1.7℃
  • 맑음금산 2.5℃
  • 구름많음강진군 6.9℃
  • 맑음경주시 5.6℃
  • 맑음거제 6.1℃
기상청 제공

경제

고액 체납자, 안내는 것일까 못내는 것일까

URL복사

국세청은 체납발생일로부터 2년이 지나고 체납액이 10억 원 이상인 고액, 상습 체납자 2천636명의 명단(법인 1180명, 개인 1456명)을 공개했다. 1년 전보다 501명(23.5%)나 늘었다. 지난 2004년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 공개를 실시해, 2004년 1천101명에서 2005년 2천135명으로 급증하고 있다.
국세청에 따르면 고액.상습 체납자의 국세는 총 11조 741억 원이며, 이 중 법인이 5조 2천223억 원, 개인 5조 8천508억 원이다. 50억 원 이하가 2천240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체납액이 500억 원 이상은 개인 4명, 법인 3명으로 총 7명이나 된다. 체납액이 100~500억 원인 경우는 157명, 50~100억 원 332명에 달한다.

정태수 일가 국세 체납액 3천66억 원
고액 체납자 개인부문 1위는 2천127억 원을 체납한 정태수 전 한보그룹 회장이다. 정 전 회장은 3년 연속 최고의 불명예를 안았다. 정 전 회장의 두 아들도 고액.상습 체납자에 이름을 나란히 올랐다. 정보근 전 한보철강 대표가 645억 원, 정한근 전 한보철강판매 대표가 249억 원을 체납해 이 모두를 포함하면 정 전 회장 일가의 국세 체납액은 3천66억 원에 이른다.
최순영 전 신동아그룹 회장이 1천168억 원을 체납해 2위에 올랐다. 이 두 명은 지방세 36억원과 13억원을 내지 않아 지방세 상습 고액 체납자 명단에도 올랐다. 법인 부문 최고 체납자는 국내 1세대 벤처기업으로 증권가에서 주가조작설로 물의를 일으킨 바 있는 리타워테크놀로지스(손성호 대표)이다. 이 회사는 법인세 등 국세 722억 원을 체납했다.

국세청은 “2004년 명단 공개 이후 현금 납부실적이 총 1천303억원(576명)에 이르며 체납액도 줄어들고 있다”고 강조하지만, 고액체납자들의 전체 체납액이 11조원이 넘는 것을 감안하면 납부실적은 고작 1%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1천명을 상회하던 신규 고액 체납자 수는 704명으로 줄어들었다. 이 중에는 지난 2000년 ‘정현준 게이트’의 주인공 정현준 전 한국디지털라인(K이) 사장이 435억원을 체납해 포함됐다. 642억원을 체납한 남효열 아이베넥스 대표도 새 명단에 올랐다.

국세청은 “명단에 오른 사람들의 드러난 재산에 대해서는 채권단과 국세청에서 이미 압류조치를 취해 징수권 소멸시효가 중단된 상태”라면서도 “압류재산을 공매에 부치더라도 채권단 등에 우선 순위가 밀려 회수할 수 있는 세금이 거의 없다”고 말한다. 때문에 실익이 거의 없는 공매를 요구하기 보다 명단을 공개해 간접적인 압력을 행사하는 게 낫다는 쪽이다.
문제는 고의적으로 세금납부를 회피하고 버티는 상습 체납자들이다. 2004년에 이어 2005년 재공개된 체납자는 975명이었지만 올해는 두 배가 넘는 1천932명이다. 사망하거나 체납액을 30% 냈거나, 소멸시효가 완성돼 명단에서 삭제된 사람 329명을 제외한 수치다.

고액체납자 10위에 랭크된 개인 체납자 중 7명은 지난해에도 고액상습 체납자 명단에 올랐었다. 명단에 오른 73%(1천932명)은 2005년 명단에도 올랐던 인물이다. 이 때문에 명단 공개가 고의 체납자들의 세금징수에 실효성이 크지 않다는 지적이다.

고액.상습 체납자의 명단은 국세청 인터넷 홈페이지(www.nts.go.kr)와 관보 등에 공개된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윤 前 대통령, 첫 재판서도 "평화적 계엄"…검찰 "국헌문란 목적"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내란 수괴' 1차 공판기일이 14일 오전 진행됐다. 윤 전 대통령은 첫 재판에서도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용도의) 계엄이지 단기간이든 장기간이든 군정 실시를 위한 계엄이 아니라는 것은 진행 경과를 볼 때 자명하다"고 주장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우두머리(수괴)' 혐의로 기소된 '민간인' 윤 전 대통령이 자신의 형사재판에서 혐의를 부인했다. 몇 시간 만에 계엄이 해제됐고 계엄 선포는 평화적인 대국민 메시지 용도였다는 주장을 반복했다. 검찰은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사전에 모의했으며 헌법과 법률의 기능 소멸을 목적으로 이를 선포했다고 지적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부장판사 지귀연)은 이날 오전 윤 전 대통령 '내란 수괴' 1차 공판기일을 진행했다. 검은 양복과 붉은 넥타이를 입은 채 평소와 같이 머리를 2대 8 가르마로 정돈한 채 출석한 윤 전 대통령은 검찰의 발표 자료(PPT)를 활용해 42분간 직접 혐의를 부인했다. 그는 "몇 시간 만에 비폭력적으로 국회의 해제 요구를 즉각 수용해서 (계엄을) 해제한 몇 시간의 사건을, 조서를 공소장에 박아 넣은 듯한 이런 구성을 내란이라고 하는 것 자체가 참

경제

더보기
인천국제공항공사 폴란드 신공항 운영 컨설팅 수주
(사진=뉴시스 제공) [시사뉴스 박용근 기자] 인천국제공항이 폴란드 신공항 운영 컨설팅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폴란드 신공항 제2기 운영 컨설팅 사업’을 수주해 계약체결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사업기간은 이달부터 오는 9월까지 6개월 간이다. 이번 사업은 공사가 지난 2023년에 수주한 ‘폴란드 신공항 제1기 운영 컨설팅 사업’의 후속 사업으로, 공사는 지난 1기 사업의 수행성과를 통해 이번 컨설팅 사업을 추가 수주하게 됐다. 주요 과업은 폴란드 신공항 건설사업의 설계 관련 자문 제공으로, 공사는 ▲보안 ▲공항 보안지역 ▲통신(IT·ICT) ▲안내 사이니지 ▲터미널 동선 개발 ▲접근교통 설계 등 공항 운영 등 전 분야에 대한 자문 컨설팅을 제공한다. 폴란드 신공항 건설사업은 기존의 바르샤바 공항을 대체할 새로운 수도공항(최종단계 연간여객 1억명 수용)을 건설하는 대규모 공항개발 사업이다. 오는 2032년 개항을 목표로 내년부터 본격 건설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며, 현재 진행 중인 신공항 설계 과정에 공사가 운영 컨설팅을 제공해 사업추진에 가속이 붙게 될 전망이다. 앞서 공사는 폴란드 신공항 건설사업과 관련해 지난 2021년 ‘폴란드 신공

사회

더보기
서울아산병원, 미국에 생체 간이식 전수 10년 ‘성공적’
[시사뉴스 이용만 기자] 전 세계 생체 간이식 분야를 선도하는 서울아산병원의 노하우를 배우고자 지난 2015년 미국 미네소타의대의 제안으로 시작된 생체 간이식 전수 프로젝트가 성공적인 결실을 맺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10년간 미네소타의대 의료진 18명에게 생체 간이식 수술법을 전수해 왔다. 1955년 한국의 의료 재건을 이끌었던 미네소타의대가 2015년부터는 한국의 우수한 간이식술을 배우는 입장이 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과 울산의대는 미국 미네소타의대와 함께 11일(금) 서울아산병원 대회의실에서 장기이식 및 줄기세포 등에 관한 공동 연구 및 교육 협약을 지속적으로 이어간다는 내용의 체결식을 진행했다. 세 기관은 2027년까지 협약 재연장을 통해 ▲뇌사자 및 생체 간이식, 기증자 간절제, 간 기증에 관한 임상 연구 ▲재생의학, 줄기세포, 바이러스 이식 관련 기초·중개 연구 ▲장기이식 정보, 생체 및 뇌사자 간이식 평가 시스템 관련 정보 공유에 대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박승일 서울아산병원장과 임영석 울산의대 학장, 김태원 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간담도외과 석좌교수, 티모시 프루엣(Timothy Pruett)

문화

더보기
체험활동과 공연 관람을 한자리에... 서울돈화문국악당 가족 프로그램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서울돈화문국악당은 가정의 달을 맞아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 ‘훈훈한 우리 가족’을 선보인다. 오는 5월 10일(토)과 11일(일) 양일에 걸쳐 진행되는 ‘훈훈한 우리 가족’은 체험활동과 공연 관람을 한자리에서 즐길 수 있는 가족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전통문화예술 단체 공간서리서리와 함께 한다. 프로그램 1부로는 체험 ‘떠나보자, 세계악기와 소리 탐험대’가 진행된다. 디저리두, 후야라, 죠하프, 워터폰 등 쉽게 만나볼 수 없는 다양한 세계 악기를 통해 소리를 탐구하는 시간을 갖는다. 악기를 가까이 접하며 진동, 음량, 음고 등 소리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시공간과 분위기를 전환하는 특수효과로서 소리의 기능을 재미있게 배울 수 있다. 활동 종료 후에는 악기를 직접 체험하는 시간이 이어질 예정이다. 2부 ‘들어보자, 도자기의 비밀’에서는 국악기 ‘훈’을 기반으로 하는 국악 공연을 즐길 수 있다. 훈은 흙으로 구워서 만든 관악기로, 따뜻한 소리가 특징이다. 악기 특유의 음색이 묻어나는 공간서리서리의 연주곡과 섬집아기, 아리랑 등 어린이 관객에게 익숙한 음악들로 무대가 꾸며질 예정이다. 공연 관람뿐만 아니라 유리병 피리 소리내기 활동이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한덕수 총리는 구국의 결단으로 대통령 선거에 나서야 한다.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전 대통령 비상계엄 선포 후 12월14일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이 청구되고 1월19일 윤 전 대통령이 구속까지 되었으나 3월7일 대통령 구속취소 후 석방, 3월24일 한덕수 총리 탄핵심판 기각(5기각, 2각하, 1인용)이 선고되면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은 기각이 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더욱이 헌법재판소의 선고가 늦어지면서 윤 전 대통령 탄핵심판은 기각이 거의 확실시해 보인다는 것이 보수측(국민의 힘) 관측이었고, 실제로 윤 전 대통령도 거의 기각이 확실시된다고 믿고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3월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9일 대표직 사퇴)의 공직선거법 2심 무죄, 4월4일 윤 전 대통령이 탄핵인용(8대0)으로 대통령직에서 파면되면서 보수(국민의힘)은 폭망했고, 분위기는 완전 ‘이재명 대통령 확실’이라는 쪽으로 기울게 되었다. 윤 전 대통령 파면 전에도 그랬지만 특히 파면 후 실시된 대통령 적임자 여론조사에서 이재명 전 대표는 압도적 1위를 하며, 보수 후보자 10여명의 지지율을 합쳐도 이재명 한 사람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연출되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는 이렇지만 대부분의 중도우익, 보수진영 관계자, 심지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