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황우여 교육부장관 취임 이후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작업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황 장관이 또다시 국정화를 시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지난 8일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토론회에서 역사교육에 대한 질문을 받고 “교실에서의 역사는 한가지로 아주 권위 있게 올바른 역사를 균형 있게 가르치는게 국가책임다”라고 답해 국정화를 시사했다.
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은 “박정희 정권 때 독재를 합리화시키고 단일화 된 내용으로 학생들을 가르치기 위해 검정체제였던 역사교과서를 국정으로 전환시켰었다”며, “정권에 따라 사관과 내용이 바뀌는 교과서가 진정 학생들의 인성과 지식을 형성시키는 교과서로서 자격이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느냐”고 일침했다.
또한 “역사 교사 97%가 한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에 반대한다는 설문 결과도 있고, 교육부 주최 토론회에서도 국정교과서 반대 의견이 압도적이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황우여 후보자는 역사교과서만큼은 검정에서 벗어나 국정 체제로 바뀌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고하지만 대다수의 역사교사와 국민들은 국정교과서를 반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황우여 교육부장관의 지속적인 역사교과서 국정화 시도로 특정 역사관을 갖도록 강제한다면 국민적 저항에 부딪힐 수밖에 없을 것”이라면서 “교과서를 유신 찬양과 군사정권 옹호에 이용했던 과거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반드시 국정화를 막아내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