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31일 358명 이래 최대폭 [시사뉴스 신선 기자] 서울에서 29일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352명 발생했다. 오후 6시 기준으로 지난 12월31일 이후 180일 만에 최다 확진 규모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서울 지역 코로나19 확진자는 전날 같은 시간보다 352명 증가해 총 4만9964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오후 6시 기준 서울 지역 코로나19 확진자 규모로는 올들어 하루 최대폭이다. 이전까지 최대 기록은 지난해 12월31일 오후 6시 기준 집계된 358명이다. 올해 들어선 지난 1월3일 329명이 최대였다. 감염 경로별로는 해외 유입이 9명, 마포구 소재 음식점 관련 4명이 추가 확진됐다. 마포구·강남구 소재 음식점 관련해선 3명이 추가됐으며, 영등포구 소재 종교시설 관련 3명, 노원구 소재 아동복지시설 관련 2명이 증가했다. 기타 집단감염 11명, 기타 확진자 접촉 120명, 타시도 확진자 접촉을 통한 감염 사례도 27명으로 집계됐다. 감염경로를 알 수 없어 현재 조사 중인 확진자는 173명으로 가장 많았다.
[시사뉴스 신선 기자]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월 29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560명, 해외유입 사례는 35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6,167명(해외유입 9,882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34,812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36,758건(확진자 85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5,178건(확진자 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76,748건, 신규 확진자는 총 595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402명으로 총 147,077명(94.18%)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7,073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52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17명(치명률 1.29%)이다.
[시사뉴스 신선 기자] 경기 이천시는 관내 기숙학원에서 코로나19 감염증 확진자 13명이 발생했다고 28일 밝혔다. 시는 전날 안양시에 거주하는 확진자가 관내 기숙학원생으로 통보돼 최초 확진자를 제외한 관련자 487명에 대해 전수검사를 실시했다. 검사 결과 추가로 12명이 양성 판정을 받고 나머지 475명이 음성이 나왔다. 거주지별 확진자는 남양주 2명, 대구 1명, 부천 1명, 서울 2명, 성남 1명, 수원 1명, 용인 1명, 이천 1명, 인천 1명, 천안 1명이다. 시는 접촉자에 대해 자가격리 조치를 취하고 기숙사생 등 학원 관계자 전원을 귀가시키는 한편 관련자 이동 동선을 파악하고 소독을 완료했다.
도쿄 317명 가나가와 192명 지바 121명 사이타마 68명 오사카 40명 일일 사망 오사카 14명 아이치 5명 홋카이도 4명 등 38명·총 1만4726명 [시사뉴스 신선 기자] 일본에서 도쿄올림픽이 내달로 다가온 가운데 백신 접종이 가속하면서 전반적으로 감소세를 보이는 코로나19 신규환자가 28일 이레째 1000명대로 떨어졌지만 추가 사망자는 30명대가 나왔다. NHK와 지지(時事) 통신 등은 각 지방자치단체와 후생노동성의 발표를 집계한 결과 이날 오후 8시40분까지 1002명이 코로나19에 새로 걸렸다고 전했다. 도쿄도에서 317명, 가나가와현 192명, 지바현 121명, 사이타마현 68명, 오사카부 40명, 홋카이도 27명, 오키나와현 25명, 아이치현 20명, 이바라키현 18명, 후쿠오카현 17명 등 감염자가 발생해 누계 확진자는 79만7000명을 넘었다. 일일환자는 5월 1일 5983명, 2일 5897명, 3일 4464명, 4일 4194명, 5일 4063명, 6일 4372명, 7일 6053명, 8일 7236명, 9일 6484명, 10일 4939명, 11일 6239명, 12일 7049명, 13일 6875명, 14일 6263명, 15일 6418명, 1
[시사뉴스 신선 기자]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월 28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72명, 해외유입 사례는 29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5,572명(해외유입 9,84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12,251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14,663건(확진자 8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895건(확진자 9명)으로 총 검사 건수는 29,809건, 신규 확진자는 총 501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335명으로 총 146,675명(94.28%)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882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1명, 사망자는 2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15명(치명률 1.30%)이다.
[시사뉴스 신선 기자] 오늘 방역당국이 7월부터 적용할 각 지자체별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발표한다. 수도권은 8인까지 모임이 가능한 2단계, 비수도권은 인원제한이 없는 1단계가 유력하다. 오는 7월부터 적용되는 거리두기 개편안은 지자체의 권한이 강화된다. 각 지자체는 유행상황과 방역 등을 고려해 운영시간 제한, 집합금지 인원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최근 높은 확산세를 보이고 있는 수도권은 오는 7월1일부터 2주간 사적 모임을 6인까지 허용한다. 비수도권 일부 지자체에서도 2주간의 이행기간을 두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름 휴가철을 맞아 사람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제주의 거리두기 단계도 주목된다. 최근 강원 춘천시가 롯데마트발 집단감염 사태로 거리두기를 2단계로 격상하는 등 비수도권도 방역조치의 고삐를 죄고 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25일 "오늘 중으로 지자체들과 거리두기 단계에 대해 협의하는 자리를 가질 예정"이라며 "일부 지자체는 다음 주까지 상황을 봐야하는 곳도 있다. 최종 조정을 거쳐 일요일에 안내하겠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2주간 이행기간을 설정할지 말지 지자체에 결정하라고 한 상태다. 다음주 추
[시사뉴스 신선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심장질환이 드물게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CNBC 등에 따르면 미 FDA는 26일(현지시간) 환자와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참고자료표에 이 백신들을 접종한 뒤 심근염(myocarditis)과 심막염(pericarditis)이 발병할 수 있다는 경고 문구를 추가했다. FDA는 "2차 접종 후 마친 뒤 심근염과 심막염이 나타날 수 있으며 백신을 맞은 뒤 며칠 내에 증상이 시작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FDA는 성명에서 "투여된 백신 복용량을 고려할 때 심근염과 심막염이 나타날 위험은 매우 낮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코로나19와 관련한 심각한 합병증의 위험을 고려하면 백신을 맞았을 때의 이익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이날 FDA의 수정 권고는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독립적인 자문기구인 예방접종자문위원회(ACIP)의 전날 회의 결과에 따른 것이다. CDC에 따르면 이 백신을 접종한 이들 중 주로 30세 이하 1200여 명에게 심근염이나 심막염이 나타났다. 이제까지 총 3억 회분이 투여된 것을 감안하면 화이자와 모더나 백신을 맞은 이들 중
[시사뉴스 신선 기자] 오는 7월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전환을 앞두고 마지막 주말을 맞아 이동량을 얼마나 줄여 코로나19 확산세를 억제할 수 있느냐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최근 유행 상황을 보면 23~25일 3일 연속 600명대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확산세가 우려되고 있다. 2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오는 27일 7월부터 적용할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의 지자체별 단계 설정 방안을 발표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각 지자체는 지난 25일 실무 회의를 열고 논의를 했다.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는 기존 5단계 체제를 4단계로 간소화하고, 집합 금지나 영업 시간 규제 등의 제한을 최소화한다. 현재 유행 상황을 기준으로 수도권을 비교해보면 6월 유흥시설 등은 집합금지, 식당 등 일부 다중이용시설은 오후 10시까지 운영 가능하지만 7월부터는 유흥시설 등 운영 재개, 다중이용시설 자정까지 이용 가능 등으로 개편된다. 최근 일주일간 일평균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 수도 469.4명으로 직전 1주 454.4명보다 증가했다. 특히 6월 들어 300명대까지 감소했던 유행 상황과 1500만명의 1차 접종, 계절적 요인 등의 이유로 전국적으로 이동량이 증가하
[시사뉴스 신선 기자] 경기 평택시와 동두천시에 있는 주한미군 기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왔다. 이로써 누적 확진자는 932명(현역 장병 705명)으로 이 중 779명이 해외 유입 사례다. 나머지 153명은 한국에서 감염된 인원이다. 주한미군은 26일 보도자료에서 "지난 22일에서 24일 사이 주한미군 관련자 13명이 코로나19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평택 험프리스 기지에 소속된 현역 장병의 가족 1명, 그리고 동두천 캠프 케이시 소속 장병 2명이 코로나19 관련 증상 발현 후 확진됐다. 험프리스 기지 소속 장병 9명과 장병 가족 1명은 기지 내 확진자 발생에 따른 밀접 접촉자 검사 과정에서 확진됐다. 이들 13명은 모두 험프리스 기지 안에 있는 코로나19 시설로 이송됐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은 "80% 가까운 인원이 예방 접종을 했지만 아직 방심할 때가 아니다"라며 "주한미군 방역수칙을 지켜 집단 감염을 차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사뉴스 신선 기자] 세계보건기구(WHO)는 코로나19 델타 변이가 여태까지 나온 변이 중 전염성이 가장 강하다고 경고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25일(현지시간) 정례 브리핑에서 "현재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델타 변이에 대한 우려가 많으며 WHO 역시 이를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무총장은 "델타 변이는 지금까지 확인된 코로나19 변이 중 가장 전염성이 강하다"며 "최소 85개국에서 확인됐으며 백신을 접종하지 않은 인구 사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일부 나라에서 공중 보건 사회적 조치를 완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감염이 증가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더 많은 확진자는 더 많은 입원, 보건 종사자·체계에 대한 부담을 의미한다"면서 "이는 사망 위험을 증가시킨다"고 강조했다. 사무총장은 "새로운 변이는 계속 보고될 것이다. 바이러스는 진화하기 때문"이라고 우려했다. 다만 "코로나19 전파를 방지하면 변이 출현도 막을 수 있다"며 "간단하다. 더 많은 전파는 더 많은 변이를 야기하고 전파가 적으면 변이도 적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사무총장은 "코로나19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모든 도구를
[시사뉴스 신선 기자] 중앙방역대책본부(본부장 정은경 청장)는 6월 25일 0시 기준으로,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602명, 해외유입 사례는 32명이 확인되어 총 누적 확진자 수는 153,789명(해외유입 9,717명)이라고 밝혔다. 의심신고 검사자 수는 27,763명, 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29,118건(확진자 90명), 비수도권 임시선별검사소 검사 건수는 987건(확진자 없음)으로 총 검사 건수는 57,868건, 신규 확진자는 총 634명이다. 신규 격리해제자는 601명으로 총 145,389명(94.54%)이 격리 해제되어, 현재 6,391명이 격리 중이다. 위중증 환자는 143명, 사망자는 1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2,009명(치명률 1.31%)이다.
[시사뉴스 신선 기자] 영국과 러시아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중 90% 이상이 델타형(인도형)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방역 전문가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24일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전 세계 주간 신규 확진자 수는 252만명으로 7주 연속 감소하고 있지만 델타형 변이 확산에 따라 일부 국가에서는 오히려 확진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러시아의 경우 주간 신규 확진자는 10만8139명으로 전주 대비 31.5% 증가했다. 영국도 전주 대비 33.4% 증가한 6만2474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주 러시아 모스크바 확진자의 90%, 영국 신규 확진자의 99%가 델타형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영국의 경우 1회 이상 백신 예방접종률이 62.9%, 접종 완료율이 45.8%임에도 델타형 변이로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인도에서 처음 보고된 델타 변이는 전 세계 92개국에서 발견됐다. 특히 감염 전파 속도가 매우 빠른 것으로 확인되고 있는데, 백악관 수석 의료 고문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에 따르면 한 달 정도 후 델타형 변이가 미국의 지
◇실장급 승진 ▲2050 탄소중립위원회사무처(사무차장) 파견 금한승 ▲물관리정책실장 이영기 ◇국장급 승진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 정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