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5.19 (일)

  • 맑음동두천 14.3℃
  • 맑음강릉 24.0℃
  • 맑음서울 17.2℃
  • 맑음대전 16.2℃
  • 맑음대구 16.6℃
  • 맑음울산 15.5℃
  • 맑음광주 17.2℃
  • 구름조금부산 17.6℃
  • 맑음고창 ℃
  • 맑음제주 17.6℃
  • 맑음강화 13.7℃
  • 맑음보은 14.0℃
  • 맑음금산 14.0℃
  • 맑음강진군 12.8℃
  • 맑음경주시 13.1℃
  • 구름조금거제 13.7℃
기상청 제공

국제

바이든, 한미동맹 강조하며 'liberty'보다 'freedom' 강조

URL복사

"한미동맹은 공유된 국경 아닌 공통된 신념서 탄생"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9일(현지시간)트위터에 윤석열 대통령이의 방미 기간 모습을 담은 1분42초짜리 영상과 함께 "한·미 동맹은 공유된 국경이 아닌 공통의 신념에서 탄생했다. (그것은) 민주주의와 자유(liberty), 안보, 그리고 무엇보다 자유(freedom)"라고 짧게 적었다.

'자유'는 윤 대통령이 취임 이후 줄곧 강조해왔던 것이어서 주목된다. 윤 대통령이 방미 중 영어로 한 미 의회 연설도 '자유의 동맹, 행동하는 동맹(Alliance of Freedom, Alliance in Action)'이었다.

또 영상엔 바이든 대통령의 육성이 담긴 내래이션이 흘러나온다.

바이든 대통령은 영상에서 "오늘날 우리는 철통 같은 동맹과 우리 미래의 공통된 비전, 그리고 한국과 미국의 깊은 우정을 축하한다"며 "지난 70년 간 우리 동맹은 더욱 강력해지고 더욱 유능해졌다"고 말했다.

또 "우리 국민들 사이의 협력과 서로에 대한 헌신은 우리 파트너십의 모든 측면에서 더욱 깊어졌다"며 "오늘날 우리 국가들은 혁신적인 강국이고 민주주의적 가치로 단합된 우리 국민들은 세계의 도전에 함께 맞서고 있으며 우리는 그것들에 함께 도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미래를 상상을 넘어서는 기회와 끝없는 가능성으로 가득차 있다. 지금까지 자랑스럽게 한국에서 복무하고 있는 우리 부대의 말처럼 '함께 가자'"고 했다.

그러면서 "한미 동맹 70주년을 축하하기 위해 오늘 밤 여러분을 모시게 돼 영광이다. 우리의 파트너십, 우리의 국민들, 가능성을 위해 또 170년을 더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영상 중간엔 윤 대통령의 발언도 삽입돼 있다.

"바이든 대통령님, 따듯하게 환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건국의 아버지들이 만든 이 헌법의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했던 이 집무실에서 바이든 대통령님과 회담을 갖게 돼서 뜻 깊게 생각합니다"라고 하는 발언이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이화순의 아트&컬처] 다른 듯 닮은 남매 작가 윤석남 윤석구 첫 2인전 <뉴라이프 New Life>
한 가문에서 유명 작가가 여럿 나오기는 쉽지 않다. 국내 대표적인 여성주의 미술작가 윤석남(85)과 조각가 윤석구(77)는 한 뿌리에서 나고 자라난 남매 예술가다. 윤석남이 여성사를 발굴해 여성의 목소리를 되살리는 작업을 해왔다면, 윤석구는 물질만능주의와 자본주의를 성찰하고 생명에 애정을 보이는 작업을 해왔다. 서울 소격동 학고재에서 열리고 있는 윤석남 윤석구의 2인전 ‘뉴라이프 New Life’전은 두 남매가 함께 여는 첫전시다. 윤석남은 2000년대 초반 그린 드로잉 80여 점을, 윤석구는 미발표 신작 17점을 내놓았다. 두 사람이 미술로 함께 한 것은 2012년 전북 익산국제돌문화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한 조각이 유일하다. 이번 전시는 동생 윤석구의 조각 작품을 중심으로 윤석남의 2000년대 드로잉을 소개한다. #윤석구, 물질적 욕망 부추기는 자본주의 비판 “살아가면서 하나의 틀에서 출발하는데, 이러한 틀을 극복하지 못하는 우리의 삶에 대해 생각하며 ‘치유와 새 생명 탄생의 의미를 담은 작품을 하게 됐습니다.” 윤석구는 15년 전 독일 유학에서 돌아온 후 원광대학 미술대학에서 제자를 기르고 작업을 하면서 숙명적인 틀을 느꼈다고 한다. “비슷한 작업을 계

오피니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