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동취재반]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 비리를 수사 중인 검찰이 ‘종교 탄압’ 논란에 대해 분명한 선 긋기에 나섰다.
인천지검 특별수사팀(팀장 김회종 2차장검사)은 15일 "이번 수사는 청해진해운과 관계회사의 운영상 비리에 대한 것이지 교회나 그 시설에 대한 것이 아님을 누차 강조했다"며 특정 종교가 수사대상이 아니라고 다시 한번 못 박았다.
검찰은 또 유 전 회장의 거처로 알려진 금수원에 강제 진입하는 방안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현재 기독교복음침례회, 일명 구원파 신도들은 검찰 수사를 종교탄압으로 규정하고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경기도 안성의 위치한 금수원에는 지난 13일부터 장남 대균(44)씨에 대한 검찰의 체포영장 집행 소식을 들은 구원파 신도들이 속속 집결했다.
검찰은 이미 수차례 걸쳐 특정 종교 단체에 대한 수사가 아니라고 거듭 강조했지만, 구원파 신도들은 출입문은 굳게 닫은 채 외부인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또 검찰이 강제 진입할 경우 온몸으로 막겠다며 버티고 있다. 금수원 안에는 1000여 명의 신도들이 몰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구원파 신도들은 금수원 결집에 앞서 지난 6일부터 인천지검 앞에서 검찰 수사를 규탄하는 항의하는 집회를 열었다.
서울 용산구의 교회에서 압수한 압수물 가운데 수사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 관련 압수물을 신속히 반환했고, 교회 관계자도 그 취지를 충분히 납득하고 앞으로 검찰청 앞 시위는 중단하겠다는 뜻을 밝혔다는 게 검찰의 설명이다. 또 불필요한 충돌이나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이해해달라고도 거듭 강조했다.
검찰이 특정 종교 단체에 대한 수사가 아니라고 거듭 강조한 것은 '종교탄압'이라는 소모적인 정쟁에는 휘말리지 않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특히 이번 수사가 종교 문제 등으로 번질 경우 수사의 방향을 잃거나 장기화 될 수 있다는 검찰 안팎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12일 이번 사건을 담당하는 주임 검사가 금수원을 전격 방문해 수사 일정 조율에 협조해 줄 것을 요청했다.
검찰 간부가 소환 대상자를 직접 찾아 나선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하지만 금수원 관계자들이 막으면서 문전박대를 당한 뒤 발길을 돌렸다.
일각에서는 검찰이 체포영장 집행 등 강제 구인에 앞서 유 전 일가에 대한 자진 출석을 권유했다는 명분을 충분히 쌓고, 소환 불응시 강제 구인 절차를 밟기 위한 일종의 포석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검찰은 이번 수사의 정점에 있는 유 전 회장이 오는 16일 예정된 소환에 응하지 않을 경우 곧바로 체포영장을 청구할 방침이다. 또 필요한 경우 금수원에 강제 진입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아직까지 유 전 회장의 출석 여부가 변수가 남아 있지만 이번 수사가 정점으로 가느냐 아니면 종교 문제로 번지느냐 중대 기로에 놓인 검찰이 어떤 묘안을 짜낼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