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신형수 기자] 부산시가 이용관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에게 사퇴를 권고한 것으로 알려져 사회적 논란이 커지고 있다. 영화계는 이번 사태를 ‘다이빙벨’ 상영에 대한 보복조치라며 부산국제영화제에 대한 보이콧 여론까지 나오고 있으나 정부차원의 중재는 난망해 보이는 상황이다.
27일 새정치민주연합 윤관석 의원(인천 남동을)은 “부산시의 ‘다이빙벨’ 상영금지 외압과 이용관 집행위원장에 대한 사퇴 압력은 현 정부의 문화에 대한 인식수준을 보여주는 바로미터”라며 “보수정권 아래서 ‘지원은 하되 간섭은 않는다’는 문화정책의 근간이 무너졌다”고 밝혔다.
윤 의원은 “2012년 논란이 되었던 ‘자가당착’ 제한상영가 등급 부여, 2013년 ‘천안함 프로젝트’의 상영중단, 2014년 ‘다이빌벨’ 외압까지 보수정권의 문화정책은 ‘입맛에 맞지 않으면 압력을 가한다’였다”며 “문화융성을 국정기조로 삼은 정권이 정권의 입맛에 따라 간섭하고 억누른다면 창작의 자유는 제한되고 자기검열이 강화되어 결국 문화 말살을 불러올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영화 정책을 조율하고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문화부는 이번 사건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영화계 인사들의 성명이 나오고 영화제 보이콧 여론이 커지고, 해외에서 주목하는 이번 사건을 관망하기만 한다면 대한민국의 문화적 위상은 30년 전 수준으로 추락할 것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