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최승욱 기자] 한국 문학의 거목인 최인훈 작가가 23일 오전 10시46분께 가족이 지켜보는 가운데 경기도 고양시 명지병원에서 눈을 감았다. 향년 84세.
대표작인 '광장'을 비롯해 '회색인'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화두' 등 소설과 희곡집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산문집 '유토피아의 꿈' '문학과 이데올로기' '길에 관한 명상' 등을 낸 고인은 지난 3월 대장암 말기 진단을 받은 뒤 병마와 싸워왔다.
최 작가는 1934년 함경북도 회령에서 목재상인의 4남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8·15 광복후 소련군 진주와 함께 함경남도 원산으로 강제로 이주당한뒤 원산에서 중학교를 다녔다. 원산고등학교 재학 중인 1950년 전쟁이 터지자 부산행 해군 함정으로 월남했다. 1개월 간의 부산 피란민수용소 생활을 거쳐 목포에 정착, 목포고등학교를 졸업했다. 1952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입학했지만 분단된 현실에서 갈등을 느낀 나머지 4학년 2학기에 등록을 포기했다. 1956년 대학 중퇴후 입대, 6년간 통역장교 등으로 복무했다. 1959년 군 복무 중 쓴 단편소설 '그레이 구락부 전말기'와 '라울전(傳)'을 '자유문학'지에 발표하며 등단했다. 당시 안수길 작가가 추천했다.
4 19 혁명으로부터 7개월뒤인 1960년 10월 '새벽'지에 실린 중편소설 '광장'은 전후 한국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을 받았다. 고인은 해방과 전쟁, 분단으로 이어지는 한국 근현대사와 궤를 같이하는 주인공 이명준의 깊은 갈망과 고뇌를 그렸다. 남북 간의 이념, 체제에 대한 냉철하고도 치열한 성찰을 담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광장'은 출간 이후 현재까지 205쇄를 찍었다. 100만부 넘게 팔린 것으로 추산된다. 2004년 국내 문인들이 한국 최고의 소설로 선정하기도 했다.
고인은 자신의 대표작 '광장'에 대해 "'광장'의 모티브가 됐던 1960년의 4·19 혁명은 역사가 갑자기 큰 조명등 같은 것을 가지고 우리 생활을 비춰준 계기였기 때문에 덜 똑똑한 사람도 총명해질 수 있었고, 영감이나 재능이 부족했던 예술가들도 갑자기 일급 역사관이 머리에 떠오르는 것 같은 분위기였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광장'은 내 문학적 능력보다는 시대의 '서기'로서 쓴 것이라고 말하곤 한다"고 밝힌 바 있다. 고인은 "나는 단지 그 시대에 그 장소에 있었던 것뿐이고 역사가 비추는 조명에 따라 내 눈이 본 것을 글로 옮긴 것 뿐"이라며 "20대 중반의 어린 나이, 평범한 청년이었던 내가 시대의 큰 흐름을 겪고, 그 사건에 대해 문학이라는 강력한 형식을 가지고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은 행운이다. 나는 거대하게 휘몰아치는 역사를 기록하는 서기였다"고 회상했다.
고인은 완벽주의를 추구하며 '광장'을 수차례 다듬는 데 공들인 것으로도 널리 알려져 있다. 초판 이후 9차례나 고쳐 총 10개의 판본을 냈다. 내용을 일부 바꾸는 등 굵직한 개작만 해도 5차례에 달한다. 한국문학 사상 가장 많은 판본을 지닌 작품으로 거론된다.
고인은 남북분단 현실을 문학적으로 치열하게 성찰했다. 저명한 문학평론가인 고 김현은 "뿌리 뽑힌 인간이라는 주제를 보편적 인간 조건으로 확대시킨 전후 최대의 작가"라고 평가했다. 전망이 닫힌 시대의 존재론적 고뇌를 그린 '회색인'(1963), 현실과 환상을 넘나들면서 파격적 서사 실험을 보인 '서유기'(1966), 신식민지적 현실의 위기의식을 풍자소설 기법으로 표현한 '총독의 소리'(1967~1968) 연작, 20세기 자체를 전면적으로 문제 삼으며 동시대인의 운명을 조망한 대작 '화두'(1994) 등도 고인의 대표작으로 손꼽힌다.
고인은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태풍', '크리스마스 캐럴/가면고', '하늘의 다리/두만강', '우상의 집' 등 소설과 희곡집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산문집 '유토피아의 꿈', '문학과 이데올로기', '길에 관한 명상' 등을 냈다. 2003년 계간지에 발표한 단편 '바다의 편지'이후 새 작품을 내지 않았다.
"단 한 사람도 글 위에서 죽으려 하지 않으니 보리는 땅속에서 썩지 못한다. 누구도 소금이 되기를 원하지 않고 추잉껌과 캐러멜이 되기를 원한다. 많은 재앙을. 풍성한 재앙을. 햇빛처럼 우박처럼 원자의 재처럼 푸짐한 시간 속에서 아이들은 잉태되고 죄의 첫 공기를 숨 쉰다."('하늘의 다리·두만강')
"자기가 표현한 것을 동시에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표현하면서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 표현이 파괴며, 파괴가 곧 표현인 그런 모순의 몸짓을 고안해내는 것이다. 그리하여 구보라는 소설가의 마음의 레이더에 들어오는 생활의 파편들을 미분하고 적분하면서 그의 이성과 정서의 장세를 각각으로 추적해보았다. 나는 이 소설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을 지극히 소시민적으로 풀어 쓴 '나의 율리시스'라 부르겠다."('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고인은 동인문학상(1966), 한국연극영화예술상 희곡상(1977), 중앙문화대상 예술 부문 장려상(1978), 서울극평가그룹상(1979), 이산문학상(1994), 보관문화훈장(1999), 박경리문학상(2011), 자랑스러운 서울법대인(2004) 등을 수상했다. 고인의 이름은 해외에도 알려져 '광장'이 영어·일본어·프랑스어·독일어·러시아어·중국어 등으로, '회색인'과 '옛날옛적에 훠어이 훠이'이 영어와 러시아어로 번역 출간됐다.
지난해 2월 서울대 법대를 명예졸업했다. 그는 대학 졸업장을 받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를 드러낸 바 있다. "맏이인 나를 대학에 보내려고 고생이라는 고생은 다 하신 부모님이며 또 내가 학교를 그만 둔다고 할 때 고통스러워 한 부모님이다. 그러나 학교를 그만 두던 그 당시에는 내가 그런 부모의 심정을 헤아릴만한 인간이 못됐다."
1977년부터 2001년 5월까지 24년간 서울예술대학 문예창작과 교수로 강단에 서면서 많은 문인 제자를 배출했다. 그는 최근 병상에서 제자들과 평론가들을 격려하고 작품을 다듬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남북 해빙무드에 큰 관심을 갖고 "통일보다 재통일이 더 위대하다. 처음부터 통일되어 있어 끄떡없는 것보다 서로를 잡아먹을 듯이 했다가 여태까지의 흐름을 거슬러서, 그렇게 다시 한국이 통일된다면 참 위대한 일이다. 마치 삼단뛰기라는 운동의 원칙처럼, 한 번, 두 번, 세 번, 같은 뜀박질이라도 세번째 한 것이 더 위대하다. 그것이 변증법이라는 말의 진정한 가치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부인 원영희 여사, 아들 윤구, 딸 윤경씨를 남겼다. 빈소는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장례는 '문학인장'으로 치러지며, 위원장은 문학과지성사 공동창립자이자 원로 문학평론가인 김병익이 맡았다. 영결식은 25일 오전 8시 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내 강당에서 열린다. 발인은 같은 날 오전 9시. 장지는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공원묘원 '자하연 일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