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주 누계는 55%...과반 넘어
LNG선 석권 속 카타르 발주 등 기대 ↑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한국 조선업이 지난달 선박 수주에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한국은 2월 세계 선박 발주량 129만CGT(41척) 중 86만CGT(16척·67%)를 수주하며 선두를 질주했다.
한국에 이어 중국 34만CGT(15척·26%), 일본 4만 CGT(3척·3%)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한국은 전체의 3분의 2를 휩쓸며 중국과 2배 격차를 보였다.
1~2월 글로벌 누계 수주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는 39% 감소한 512만CGT를 기록했다. 한국은 281만CGT(56척·55%)로 과반을 차지하며 201만CGT(61척·39%)에 그친 중국에 크게 앞섰다.
2월말 세계 수주잔량은 전월 대비 56만CGT(1%↓) 감소한 9173만CGT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60만CGT 증가( 2%)한 반면, 중국과 일본은 각각 1만CGT, 27만CGT 감소했다.
2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지난달보다 0.47포인트 소폭 상승한 154.73포인트를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상승했다.
선종별 선가 추이를 살펴보면, 초대형 유조선(VLCC)은 지난 1월 1억1400만달러에서 2월 1억1500만달러로 100만달러 올랐다. 동기간 LNG선(17만4000m³)은 2억1400만달러에서 2억1800만달러로 400만달러 상승했다. S-max 유조선은 7600만달러에서 7700만달러로 100만달러 상승했다.
업계 관계자는 "환경규제 강화 등으로 수요가 증가하는 LNG 운반선의 경우, 한국이 2월 전세계 발주된 LNG선 7척 전량을 수주했다"며 "곧 계약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는 카타르 프로젝트에 대한 대량 수주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