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이하 연준)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해 2.00~2.25%로 높였다. 올해 들어 세 번째 인상이다.
연준이 25~26일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면서 기준금리 유도목표 범위가 10년 만에 2.0%를 넘어 가장 높은 수준이 됐다. 기준금리가 2%를 상회한 것은 리먼 브러더스 금융위기 후인 2008년 10월 이래 처음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AP통신 등에 따르면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에 대해 “금리는 아직 낮은 수준”이라며 “이 같은 점진적인 정상화는 모든 미국인들의 장기적인 이익을 위한 강력한 경제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완화적’ 표현 삭제… “정책변화 아냐”
FOMC는 회의 후 발표한 성명과 분기 경기예측에서 선행 금리 인상 전망을 연내 1차례, 2019년에도 3차례로 종전과 같게 유지 제시했다. 이는 12월 추가금리 인상 후 2019년에도 점진적인 속도로 계속 금리를 올린다는 사장 예상과 부합하는 내용이다. FOMC는 완만한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면서도 2020년에는 1회만 기준금리를 올리는 것을 상정해 인상을 정지할 방침도 시사했다.
다만 연준은 그간 금융정책에서 사용해온 ‘정책기조는 계속 완화적(accommodative)’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연준은 기록적으로 낮은 제로에 가까운 금리를 유지하는 7년 동안, 그리고 완만하게 금리를 올리면서 긴축에 들어간 지난 3년간 ‘완화적’이라는 용어를 다양하게 활용했다. 시장 일각에서는 이를 삭제함으로써 연준이 금리를 올리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전하려는 신호를 보내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파월 의장은 “정책 변화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FOMC에선 투표 자격을 가진 위원 9명을 비롯해 16명의 참석자가 각자 금융정책 전망(점도표)을 내놨다. 연내 1회 추가 인상에 12명이 지지하면서 2018년 금리는 총 4차례 오른다. 2019년 금리 인상 회수는 3차례로 내다봤다. 당분간 금리 인상은 지난 6월의 상정과 변하지 않아 완만한 금융긴축이 지속하게 된다.
연준은 미국 경기 동향에 자신감을 확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형 감세조치가 효과를 내면서 경기가 상향함에 따라 FOMC는 올해 10~12월 분기 경제성장률을 3.1%(중앙치)로 6월 시점의 예측(2.8%)보다 0.3% 포인트 상향했다. 2019년 성장률은 2.4%에서 2.5%로 소폭 올려 잡고 2020년은 2.0%로 유지했다. 하지만 2021년에는 1.8%로 둔화해 연준이 전망하는 잠재 성장률 1.8%와 같아졌다.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 크지 않아”
연준의 금리 인상에 대해 우리 정부는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은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이번 금리 인상은 이미 예상됐던 만큼 국제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었다”며 “점진적 금리 인상 기조가 재확인되고 급격한 미 금리 인상에 대한 시장 우려도 다소 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평가했다.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가 최대 0.75%포인트까지 확대됐으나 정부는 크게 우려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고 차관은 “외국인 자금이 급격히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으나, 그럴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최근 남북관계 개선과 함께 CDS프리미엄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9월 중순 외평채 10억달러를 낮은 금리로 성공적으로 발행해 한국경제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재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과거 국내사례나 해외사례에 비춰 봐도 정책금리 역전으로 외국인 자금이 유출되는 것은 아니며, 외국인 채권자금의 70% 이상이 중앙은행과 국부펀드 등 중장기 투자자들이다”라고 설명했다.
다만 고 차관은 “터키, 아르헨티나의 경제 불안이 점차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등 다른 신흥국으로 확산되고 있다”며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아직 제한적이나, 긴장의 끈을 놓을 수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국과 중국이 추가관세를 상호 부과하는 등 미중 무역 갈등 역시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다”며 “정부는 경각심을 갖고 관계기관과 긴밀히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