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9.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문화

변강쇠와 옹녀 - 제 5강 호녀(好女)

URL복사
<%@LANGUAGE="JAVASCRIPT" CODEPAGE="949"%>


무제 문서





 


변강쇠와 옹녀



제 5강 호녀(好女)




랑시인 김삿갓은
산천경계를 구경하면서 천하를 주유했다. 고생도 많지만 때로는 즐거운 일도 더러는 있었다. 그는 단천 땅을 지나갔다. 단천에 한 노처녀가
있어서 사람들이 이 노처녀를 김삿갓한테 중매를 섰다. 그로서는 마다할 이유가 없었다. 그렇게 해서 김삿갓이 장가를 들었다. 그로서는 횡재가
아닐 수 없었다. 신랑신부는 다른 신혼부부들이 하듯 식을 올리고 첫 밤을 맞았고 그 첫 행사도 치렀다.

첫 행사를 치른 다음 이 방랑시인의 짓궂은 장난 끼가 발동했다. 그는 붓을 들어서 아내의 치마폭에다 한 수의 시를 휘갈겨 썼다.


모심내활 필과타인(毛深內闊 必過他人)

털이 깊고 그 속이 넓으니 틀림없이 이미 다른 사내가 지나갔도다.


신랑이 휘갈겨 쓰는 시를 본 신부는 어이 없어했다. 가세가 가난해서 나이 많도록 시집을 못 가고 노처녀가
되었다고 신랑이 처녀성을 의심하니 억울하기도 하다. 그러나 신부는 아무 말 않고 신랑의 붓을 넘겨받아서 한 폭의 시로 화답한다.


남산황율불봉개,계변양류불우장(南山黃栗不蜂開, 溪邊楊柳不雨長)

남산의 누런 밤송이 벌이 쏘지 않아도 열리고, 시냇가 버들가지 비가 오지 않아도 자란다오.


역시 시인의 짝이 될만한 여인이었다. 남녀의 정분이 더욱 농하고 짙어질 수밖에. 누런 밤송이 저절로 열리고
버들가지 스스로 자라듯 나이가 들어 성년에 이르면 여인의 몸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속 좁은 사내들은 그것을 까탈 잡아서 처녀니 아니니 투정을
한다. 털이 깊고 안이 넓으면 처녀가 아니라고!

이 시를 보더라도 역시 그곳의 숲은 길고 깊어야 한다고 우리는 믿어왔고, 자고로 그곳의 숲이 길고 깊은 것을 일품으로 여겨왔다. 하지만
이런 고정관념이 반드시 옳을까.

필자는 ‘진시황제’라는 장편 역사 소설을 쓰면서 중국 대륙에서는 사내들이 좋아하는 호녀(好女)의 개념이 우리와는 크게 다르다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했다.

지금으로부터 2천 3백여 년 전에 살았던 시황제는 아방궁을 짓고 그곳에 3천 궁녀를 두었다 하니 불가불 그 당시 중국대륙의 성문화(性文化)에
대해서도 관심을 두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여러 기록과 전적을 상고해본 결과 저들은 진시황제 이전에 이미 성에 대한 경전과 춘화도(春花圖) 따위를 대나무에 새겨서 그것을 소중하게
보관해 왔다는 것을 알아냈다. 대나무에다 새긴다 하여 이것을 일컬어 죽간(竹簡)이라 하는데, 종이가 없던 시절에는 이 죽간이 종이를 대신했다.


옛날의 사관(史官)들은 이 죽간에다 임금의 일거수일투족을 하나도 빼놓지 않고 기록했고, 이것이 뒷날 그 임금의 치적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었다.
그래서 폭군들은 가끔 사관을 협박하여 죽간의 내용을 고치려 하였으나 이들은 목숨을 내놓고 이것을 지켰다. 이른바 직필(直筆)이다. 곡필과
직필은 이렇게 다르다. 절대 군주 밑에서도 직필은 꺾을 수 없었는데…

각설하고, 민간에서는 성에 대한 것도 이 대나무에다 새겼고, 이것이 성을 다룬 경전의 바탕이 되어서 저들은 그 후로 ‘소녀경’, ‘황제내경’,’옥방비결’따위의
성서(性書)를 남겨서 그것들이 오늘날까지 전해져 내려온다. 그런데 이 성서들은 한결같이 호녀의 조건으로 반드시 털이 없는 여인을 꼽았으니
이것 역시 우리와는 사뭇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으리라.

‘소녀경(素女 )’에서는 호녀를 사내들이 꺼리는 오녀(惡女)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쓰면서 호녀를 입상여인(入相女人)이란 말로 바꾸어 불렀다.
경은 입상여인을 다음과 같은 말로 표현했다. 참고삼아 말하자면 소녀(素女)는 남자와 한 번도 접촉을 갖지 않은 숫처녀를 의미하나 '소녀경'의
소녀는 황제에게 성을 교습하는 천녀(天女)를 의미한다.

소녀는 황제에게 이렇게 아뢴다.

“입상여인은 천성이 온순하고, 목소리에 윤기가 있으며, 삼단 같은 검은 머리털에 부드러운 피부, 아담한 체격에다 공혈(孔穴)이 위로 치올라
붙어 있고, 음부에는 털이 없으며, 음액(陰液)이 많은 여자를 말합니다. 또한 교접할 때는 음액이 넘쳐흐르고, 온몸을 비비꼬며, 스스로
억제하지 못하고, 온몸에서 땀이 흐르고, 남자에 쫓아 행동합니다. 이러한 여자를 거느리는 남자는 비록 법도를 따르지 않더라도 몸을 상하는
일이 없습니다.”

여러 분들의 여자는 어떠하며 또한 여러분들은 이것이 옳다고 생각하는가. 다른 것은 다 그럴듯한데 음모 문제 있어서는 우리와는 관념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백(白) 무엇과 교접하면 재수가 없다느니 하는 말도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지 않겠는가. 그것이 너무 맛 좋은 별미여서 다른
사람들이 맛을 보지 못하도록 하려는 연막전술인지도 모른다. 맛 좋은 계란을 어른 혼자서 독차지하려고 아이들이나 여자들이 그것을 먹으면 뼈가
굳어지지 않는다는 따위의 말을 만들어 냈던 음흉한 늙은이들이니 그럴 수도 있으리라. 어두육미(魚頭肉尾)니 하는 말도 이래서 생겨났다. 생선은
대가리 맛이고, 육은 꼬리 맛이라고? 그렇게 해서 어른들은 기름이 자르르 흐르는 생선 뱃살을 먹고, 아이들이나 여자들은 생선 대가리를 어적어적
씹어 먹었으리라.

‘옥방비결’은 호녀에 대해서 이렇게 말한다.

“여자를 고를 때는 반드시 젊은 여자를 골라야 한다. 살집이 좋고, 삼단 같은 머리털에, 눈은 작고 흰자위와 검은자위가 뚜렷한 여자로,
목소리가 고우며, 체격이 크지 않고 아담한 여자가 좋다. 또한 음부와 겨드랑이 아래에 털이 나지 않았거나 났어도 가늘고 부드러워야 한다.”

저들이 쓴 성에 대한 어떤 경전에도 음모가 많이 난 여자를 호녀라 않음은 분명하니 우리와 비교하여 어떠한가.

호녀냐 아니냐를 알고자 하면 어떻게 하는가. 저들은 이렇게 가르친다.

“호녀인가 오녀인가를 알고자 하면 마땅히 음부와 겨드랑이 밑의 털을 잘 살펴 보라!”

“그 까닭은?”

“털이 부드럽고 윤택해야 하는데, 만약 털이 뻣뻣하고 윤기가 없으면 남자에게 해로운 여자이다. 음부에 긴 털이 없고 세모만 있는 경우는
호녀중의 호녀라 할 수 있느니라! 반대로 다리에 털이 나 있는 여자도 해로운 여자이니 이런 여자와 단 한 번 교접한다 하더라도 백 번을
교접한 것이나 마찬가지로 남자에게 해로우니라!”

그래서 요즘 여인들은 면도기로 다리에 난 털은 말할 것도 없고, 겨드랑 밑의 털도 깎아 버리는가. 그러나 과문하여 음모를 깎는 여자가 있다는
말은 아직 못 들었지만 음모가 없는 여자가 호녀라는 사실이 밝혀지는 날이면 음모를 잘 깎을 수 있는 특수한 기계를 만들어내면 크게 재미를
볼 수 있으리라.

남자가 특히 꺼려야 할 여인은 어떤 여인인가?

피부가 거친 여자, 살집이 없이 바짝 마른 여자, 언제나 위로 오르기를 좋아하는 여자, 목소리가 사내 같은 여자, 다리에 털이 많은 여자,
질투가 심한 여자, 음이 냉한 여자, 불순한 쾌감을 즐기고자 하는 여자, 밥을 너무 많이 먹는 여자, 나이 40이 넘은 여자, 뱃속이 좋지
않은 여자, 머리털이 뻣뻣한 여자, 몸이 언제나 냉한 여자, 뼈대가 억센 여자, 곱슬머리나 목뼈가 불거져 있는 여자, 겨드랑이에서 고약한
냄새가 나는 여자, 음수가 나오는 여자 등등을 저들은 꺼려했다.

다른 것들은 모두가 그럴듯한데 위로 오르기를 좋아하는 여자와 질투가 심한 여자를 특히 꺼려야 한다는 대목은 어떠한가. 이쪽의 힘이 없으면
위로 올라가 이쪽의 수고를 덜어줄 줄 아는 여자, 이쪽을 너무 사랑한 나머지 질투와 시새움으로 온 몸이 불처럼 달아오르는 여자라면 구태여
꺼려야 할 것은 없을 것이 아닌가.

그러나 이것들은 호사가들이 지어낸 말일뿐이어서 족히 믿을 바는 못되니 여러분들은 어떤 여자를 호녀라 생각하는가.



http://www.sisa-news.com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동훈, 강화군수 보선 지원사격...탈당 후 출마 안상수에 “복당 없다”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7일 10.16 재보궐선거 지역인 인천 강화군을 찾아 군수 후보로 출마한 박용철 후보를 지원 사격했다. 한 대표는 이날 인천 강화군에서 열린 박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강화 주민의 삶을 더 개선하겠다는 마음 하나로 오신 것 아닌가. 저도 그렇다"며 "우리 당에서 강화의 일꾼으로 여러분을 위해서 함께 일할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주민이 원하는 정치를 하는 것의 출발을 강화에서 하겠다"면서 "이번 기회에 국민의힘이 어떻게 해야 강화의 힘이 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실천하겠다. 반드시 약속을 지키고 강화 주민을 생각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그는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안상수 전 인천시장을 겨냥해 "경선의 기회가 있는데도 당을 탈당해서 출마한 경우에 그건 주민들의 희망을 저버리는 행동이다. 명분없는 행동"이라며 "제가 당대표로서 이렇게 말씀드린다. 복당은 없다"고 말했다. 강화군은 국민의힘이 강한 지역이지만, 당 안팎에서는 안 전 시장 출마로 보수 표가 양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강화를 지역구로 둔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러가지 사업을 누가 하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남이동길’에서 느끼는 예술의 향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남이동길에서 ‘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이야기가 펼쳐진다.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Närt문화살롱’은 서대문구 남가좌 생활상권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재미진동네에서 주관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역 주민이 다양한 예술인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예술을 매개로 네트워킹을 형성해 지속적이고 특색있는 ‘남이동길’만의 예술문화를 조성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다회차로 나눠 진행되는 해당 프로그램은 지난 7월~8월 #1 프로그램과 #2 프로그램을 마쳤으며, 9월부터 10월까지 #3 프로그램과 #4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Närt 문화 살롱 #3 프로그램은 ‘Närt 화요 미식회; 예술 한 조각, 대화 한 스푼’이라는 주제로 9월 24일부터 10월 22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5곳의 상점에서 5회차에 걸쳐 강연을 진행한다. 강연 장소와 주제는 △1회차 ‘선휴커피’에서 ‘건축가의 시선으로 따라가는 남이동길’(건축가 김은경 소장) △2회차 ‘조조갤러리’에서 ‘K-pop과 엔터테인먼트 시장’(배드보스 컴퍼니 조재윤 대표) △3회차는 ‘노잉로스팅 하우스’에서 ‘사진과 영상예술’(사진작가 송길수) △4회차는 ‘썬공방’에서 ‘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서울시교육감선거 후보 양 진영 단일화 성공 이제는 결과가 중요하다
오는 10월 16일 치러지는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후보 선출을 놓고 보수, 진보 양 진영이 후보 단일화에 성공함으로써 이번 선거의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보수 후보 단일 기구인 ‘서울시교육감 중도우파 후보 단일화 통합대책위원회(통대위)’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조전혁 전 한나라당 의원을 단일후보로 추대했다고 밝혔다. 단일화후보로 추대된 조 후보는 “조희연표 교육정책은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인데 둘 다 처참한 실패로 끝난 실험이라고 생각한다”며 “학부모 사이에서 혁신학교는 ‘공부는 안 가르치는 학교’로 소문이 났고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권리만 일방적으로 강조하고 의무와 책무는 서술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권이 살아야지 학생의 인권도 지켜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감이 된다면 우선적으로 교권 수호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통대위의 여론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제2단일화 기구를 통한 단일화를 주장했던 안양옥 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 홍후조 고려대 교수가 이날 통대위의 결정을 전격 수용하고 중도보수 후보의 승리를 위해 기꺼이 힘을 보태겠다는 대승적인 결정을 내렸다. 안 전 회장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