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4.09.28 (토)

  •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산업

CES 2022 아쉬움 속 폐막…韓 기업들의 잔치

URL복사

 

[시사뉴스 김성훈 기자]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22'이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의 사흘간 일정을 마무리하고 7일(현지시간) 막을 내렸다.

올해 CES는  2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진행됐으나, 코로나19 변이인 오미크론 확산 탓에 불참기업이 많아 전시 규모가 예년보다 절반으로 줄었다. 특히 GM, 구글(웨이모), 마이크로소프트, 메타(구 페이스북), AT&T 등 글로벌 기업들과 미중 갈등으로 중국 기업들도 대거 불참해 라스베이거스컨벤션센터(LVCC)는  예년보다 훨씬 한산했다.

그러나 국내 기업들의 존재감은 빛났다. 역대 최대 규모인 500여개 기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가해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는 1300여개사가 참가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많다. '한국기업들의 잔치'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 부스는 관람객들의 발걸음이 끊이질 않았다. 삼성전자는 역대 최대 규모의 전시관을 마련해 위용을 과시했다.  한종희 심성전자 DX부분장 부회장은 CES 기조연설 첫번째 무대에 올라 ‘미래를 위한 동행’을 주제로 지속 가능한 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미래 기술’ 방향을 제시하며 CES막을 올렸다.

 

또 올해 출시할 마이크로 LED(발광다이오드) TV, 게임용 모니터, 비스포크 가전 등을 배치했다. 증강현실(AR) 장치가 있는 자율주행차에 타 볼 수 있었고, 비서 역할을 하는 로봇 ‘삼성 봇 아이’가 시연을 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방역차원에서 관람객 간 6피트(약 1.8m)의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예약 시스템을 운영했다. 동시 관람 인원도 제한했으며, 자사 키오스크를 통해 예약을 받았다.

 

SK그룹 부스도 관람객들의 줄이 길게 이어져 있었다. 자작나무로 가득해 마치 숲속에 온 것처럼 마련해 멀리서도 한 눈에 띄었다. SK는 전시관을 탄소 감축 이행을 위한 약속 공간으로 삼고, SK㈜, 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 E&S, SK하이닉스, SK에코플랜트 등 6개사의 탄소 감축 기술들을 한 데 모았다. 관람객들은 제공받은 단말기를 NFC 태그에 찍어 계열사별 탄소 저감 노력을 확인하고 그린 포인트를 적립하는 방식도 인상 깊었다. 적립된 포인트는 베트남 맹그로브 숲을 살리는 쓰인다.

LG전자는 실물 제품이 없는 대신 관람객이 스마트폰을 활용해 AR과 VR로 감상하는 신개념 부스를 차렸다.  관람객들이 부스 곳곳에 설치된 뷰포인트에서 QR코드를 찍어 CES 2022 혁신상 제품 등을 경험하는 방식이다. 관람객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신선하다는 호평이 있는 반면 무성의 하다는 혹평도 있었다.
 

현대차는 자동차 대신 로보틱스를 통한 새로운 영역의 모빌리티를 선보였다. 4족 보행 로봇 개 '스팟'부터 로봇처럼 장애물이 있는 상황에서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소형 모빌리티 모베드와 PnD모듈, DnL모듈을 적용한 퍼스널모빌리티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의선 회장은 국내 5대 기업 총수 중 유일하게 CES 2022에 직접 참가해 메타모빌리티로 궁극적 이동의 자유를 실현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두산그룹은 원격 조정 굴착기, 완전 전동식 건설장비, 무인 지게차 등 친환경 장비를 전시해 건설·기계의 미래상을 제시했다. 특히 전시장 앞에 마련된 드럼 치는 로봇은 눈길을 끌었다.

스타트업 전용 전시관인 ‘유레카 파크’에서도 주목을 받았다. 스타트업 800여곳을 비롯해 2300곳 이상의 참관사가 참여했다. 국가단위로 부스가 마련됐으며 각국 정부와 대기업에서 적극 지원해 참신한 기술과 제품을 뽐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한동훈, 강화군수 보선 지원사격...탈당 후 출마 안상수에 “복당 없다”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27일 10.16 재보궐선거 지역인 인천 강화군을 찾아 군수 후보로 출마한 박용철 후보를 지원 사격했다. 한 대표는 이날 인천 강화군에서 열린 박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발대식에서 "강화 주민의 삶을 더 개선하겠다는 마음 하나로 오신 것 아닌가. 저도 그렇다"며 "우리 당에서 강화의 일꾼으로 여러분을 위해서 함께 일할 사람들이 많이 있다"고 지지를 호소했다. 이어 "주민이 원하는 정치를 하는 것의 출발을 강화에서 하겠다"면서 "이번 기회에 국민의힘이 어떻게 해야 강화의 힘이 될 수 있는지 연구하고 실천하겠다. 반드시 약속을 지키고 강화 주민을 생각하는 정치를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그는 국민의힘을 탈당하고 무소속으로 출마한 안상수 전 인천시장을 겨냥해 "경선의 기회가 있는데도 당을 탈당해서 출마한 경우에 그건 주민들의 희망을 저버리는 행동이다. 명분없는 행동"이라며 "제가 당대표로서 이렇게 말씀드린다. 복당은 없다"고 말했다. 강화군은 국민의힘이 강한 지역이지만, 당 안팎에서는 안 전 시장 출마로 보수 표가 양분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강화를 지역구로 둔 배준영 원내수석부대표는 "여러가지 사업을 누가 하나"

경제

더보기

사회

더보기

문화

더보기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남이동길’에서 느끼는 예술의 향기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남이동길에서 ‘의 세 번째와 네 번째 이야기가 펼쳐진다. 문화예술 in 골목상권 프로젝트 ‘Närt문화살롱’은 서대문구 남가좌 생활상권 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재미진동네에서 주관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역 주민이 다양한 예술인과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예술을 매개로 네트워킹을 형성해 지속적이고 특색있는 ‘남이동길’만의 예술문화를 조성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다회차로 나눠 진행되는 해당 프로그램은 지난 7월~8월 #1 프로그램과 #2 프로그램을 마쳤으며, 9월부터 10월까지 #3 프로그램과 #4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먼저 Närt 문화 살롱 #3 프로그램은 ‘Närt 화요 미식회; 예술 한 조각, 대화 한 스푼’이라는 주제로 9월 24일부터 10월 22일까지 매주 화요일 저녁 7시, 5곳의 상점에서 5회차에 걸쳐 강연을 진행한다. 강연 장소와 주제는 △1회차 ‘선휴커피’에서 ‘건축가의 시선으로 따라가는 남이동길’(건축가 김은경 소장) △2회차 ‘조조갤러리’에서 ‘K-pop과 엔터테인먼트 시장’(배드보스 컴퍼니 조재윤 대표) △3회차는 ‘노잉로스팅 하우스’에서 ‘사진과 영상예술’(사진작가 송길수) △4회차는 ‘썬공방’에서 ‘현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서울시교육감선거 후보 양 진영 단일화 성공 이제는 결과가 중요하다
오는 10월 16일 치러지는 서울시교육감 보궐선거 후보 선출을 놓고 보수, 진보 양 진영이 후보 단일화에 성공함으로써 이번 선거의 결과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보수 후보 단일 기구인 ‘서울시교육감 중도우파 후보 단일화 통합대책위원회(통대위)’는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조전혁 전 한나라당 의원을 단일후보로 추대했다고 밝혔다. 단일화후보로 추대된 조 후보는 “조희연표 교육정책은 혁신학교와 학생인권조례인데 둘 다 처참한 실패로 끝난 실험이라고 생각한다”며 “학부모 사이에서 혁신학교는 ‘공부는 안 가르치는 학교’로 소문이 났고 학생인권조례는 학생의 권리만 일방적으로 강조하고 의무와 책무는 서술하고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권이 살아야지 학생의 인권도 지켜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감이 된다면 우선적으로 교권 수호자가 되겠다”고 강조했다. 전날까지만 해도 통대위의 여론조사 결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제2단일화 기구를 통한 단일화를 주장했던 안양옥 전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 회장, 홍후조 고려대 교수가 이날 통대위의 결정을 전격 수용하고 중도보수 후보의 승리를 위해 기꺼이 힘을 보태겠다는 대승적인 결정을 내렸다. 안 전 회장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