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 6개월간 변동성이 축소되는 등 안정성이 높아진 동시 역동성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거래소는 지난 6월15일 도입한 가격제한폭 확대(±15%→±30%)와 가격안정화장치 개편 관련 시행 상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상하한가 종목수가 줄어드는 등 개별 종목의 주가 변동이 현저히 완화됐을 뿐만 아니라, 전체 시장의 변동성 또한 주요 해외시장과 비교해 안정적인 움직임을 보였다는 게 거래소 측 평가다.
유가증권과 코스닥 양 시장의 상한가 종목수는 기존 18.7종목에서 7.7종목으로, 하한가 종목수는 4.1종목에서 0.4종목으로 급감했다.
아울러 6개월간 코스피시장 일중변동성은 1.1%로 미국(1.5%), 독일(1.8%) 등 주요 해외증시 대비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주가 급등락에 따른 개인투자자의 시장 이탈을 우려했지만 오히려 거래비중이 증가하고 전체시장의 거래규모도 증가해 역동성이 제고됐다는 분석이다.
일평균 거래대금은 과거보다 2.3% 증가한 9조1000억원을 기록했고, 개인투자자 거래비중은 과거보다 1.3%포인트(코스닥 0.5%p) 상승한 54.3%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종목의 주가급변 방지를 위해 도입된 정적·동적 변동성완화장치로 가격 변동폭이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호가제출 직전 단일가격 대비 10%이상 가격 변동 시 2분간 단일가매매가 진행되는 정적 변동성완화장치는 일평균 72.5회(코스닥 107.0회) 발동 후 0.7%포인트(코스닥 0.3%포인트)의 가격변동이 줄었다.
또 호가제출 직전 체결가격 대비 2~6% 이상 가격 변동 시 2분간 단일가매매가 진행되는 동적 변동성완화장치는 일평균 48.8회(코스닥 57.1회) 발동 후 2.0%포인트(코스닥 1.7%포인트)의 가격변동이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