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신세계그룹이 면세점 사업 추진을 위해 2000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추진할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신세계는 면세사업법인인 신세계DF를 통해 명동 신세계백화점을 리뉴얼한 뒤 면세점 입점을 추진한다.
일반적으로 면세점 운영을 위해서는 2000억원 규모의 자금이 필요하다. 면세 사업의 특성상 물건을 직매입 해서 고객에게 팔아야 하기 때문이다.
면세사업을 위한 물품 구입비는 적게 책정해도 1000억원이 훌쩍 넘는다. 또 신세계 측이 기존 백화점을 리뉴얼하는데도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하지만 신세계는 최근까지 이마트 타운 조성 등 복합쇼핑몰 사업에 전력을 기울였다. 알려진 투자 규모만 해도 3000억원이 넘는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세계의 올해 3분기 연결기준 현금성 자산은 133억원에 불과하다. 때문에 신세계 면세점 사업과 관련된 투자비용 마련에 관심이 모아질 수밖에 없다.
일각에서는 신세계가 회사채 발행을 통해 2000억원의 자금을 마련할 것으로 점치고 있다. 이에 대해 신세계 측은 전혀 아니라는 입장이다.
현재로서 유력한 방안은 유상증자를 통한 자금 마련이다.
유상증자는 신주를 발행할 경우 그 인수가액을 현금이나 현물로 납입시켜 신주자금 또는 재산이 기업에 들어오는 경우를 말한다.
신세계DF는 신세계에서 100% 출자를 통해 만든 자회사이기 때문에 이 같은 방안을 추진할 공산이 높다는 것이 신세계 측 설명이다.
신세계 측 관계자는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삼성생명 지분매각, 회사채 발행 등은 현재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면세점 사업 자금이 한꺼번에 투입되지 않는 만큼 유상증자를 통해 일부 자금을 마련하고 또 다른 방법 등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