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을 주제로 한 토론회가 편파성 논란을 빚고 있다.
KT와 LG유플러스는 한국미디어경영학회가 2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지던트호텔에서 개최한 '방송통신산업 현안과 해결방향 모색’ 심포지엄에서 '특정사업자를 대변하는 왜곡된 심포지엄이 개최되는 것에 심히 유감'이라며 불참했다.
미디어경영학회는 양사 임원이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지만 KT와 LG유플러스는 참석을 거부했다.
김용규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와 김성철 고려대 미디어학부 교수는 발제문을 통해 'SK텔레콤의 CJ헬로비전 인수가 시장 집중도를 높일 수 있지만 소비자 효용을 높이고 케이블TV방송업계에 새로운 활력을 높일 것'이라며 양사 결합에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았다.
이들은 "정부가 유료방송산업 도약을 위해 건전한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며 "경쟁제한성 발생과 방송 공공성 훼손 등 관련 업계의 우려는 정부가 합리적 인수합병의 조건을 제시하면 된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KT와 LG유플러스는 심포지엄 관련 공동입장 자료를 통해 "발제내용 가운데 '양사 합병을 적시 승인하고 문제점은 인수합병 조건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은 SK텔레콤의 주장과 요구를 그대로 대변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학회 측은 심포지엄에 앞서 "발제자의 발제 내용은 미디어경영학회의 공식 입장이라기 보다는 개인 의견"이라며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입장에서 토론의 장을 지속적으로 열겠다"고 유감을 밝혔다.
김용규 한양대 교수는 학회 측 배표 자료가 "본인 입장과 다르다"며 일부 정정에 나서기도 했다.
최근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인수와 관련된 토론이나 세미나에서는 편파성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언론학회가 앞서 주최한 세미나에서는 발제문과 달리 SK텔레콤과 CJ헬로비전 인수합병을 일방적으로 비판하는 보도자료가 배포돼 발제자와 SK텔레콤이 항의하는 사태도 벌어졌다.
양사 합병에 비판적인 발제가 이뤄진 서강대 법과시장경제센터 토론회는 KT와 LG유플러스가 후원한 것으로 밝혀져 잡음이 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