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조아라 기자] 8월31일은 원인불명의 폐손상이 가습기살균제 때문이라는 정부의 역학조사 결과 발표가 나온 지 6년째 되는 날이다. 가습기살균제는 유해성이 확인된 2011년 제조·판매·유통이 중단돼 시장에서 사라졌지만, 6년이 지난 지금까지 관련 기업 일부만이 책임을 인정하고 사과했다. 가장 많은 피해자를 낸 기업으로서 피해자 배상을 진행하고 있는 옥시레킷벤키저의 현재 상황에 대해 들어봤다.
가습기살균제 관련 기업은 제조·판매 업체부터 원료 공급 업체까지 수십여곳에 달하지만, 옥시는 가장 책임이 큰 기업 중 하나로 꼽힌다. 환경부가 한국환경보건학회에 의뢰한 피해조사에서 가습기살균제 사용자의 65.3%가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을 사용했다고 답했으며, 환경보건시민센터에 의하면 ‘옥시싹싹 뉴 가습기당번’ 제품은 약 438만개가 판매됐다. 2위 기업인 애경이 비슷한 시기에 ‘가습기메이트’를 약 172만개 판매한 것과 비교해면 2.5배가 넘는 양이다.
판매처 잃은 옥시 “사업보다 배상에 집중”
가습기살균제 사태로 인해 옥시 제품 전체에 대한 불매운동으로 일어나 대형마트에서 옥시 제품이 철수된 데 이어 온라인에서도 제품 철수가 잇따랐다. 이에 대해 옥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옥시 제품이 판매되고 있는 곳은 일부 온라인 채널과 동네 슈퍼마켓과 같은 소규모 가게뿐”이라며 “이 또한 판매처의 발주를 받아 제품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각 판매처별로 남아있던 재고분에 대한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습기살균제 사건으로 인한 불매운동 이후 제품 생산이 이뤄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밝히며 “사업을 통해 이윤이 발생해야 기업 활동이 가능하지만 현재는 사업보다는 피해자 배상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피해자 배상 및 지원 등에 필요한 자금과 국내 사업장 직원 급여 등은 모두 영국 본사가 부담하고 있다”고 말했다.
배상 문제를 돕기 위해 피해자들과 직접 연락을 했었다는 이 관계자는 옥시가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게 된 것에 대해 “가습기살균제 사건에 대해 너무 법적으로만 접근하려 했던 점에서 대응이 부족했던 것 같다”면서도 “그러나 한국법인장 아타 샤프달 대표가 피해자 및 가족들에게 사과하고 피해보상에 대한 입장을 밝힌 지난해 5월2일을 기점으로 가습기살균제 사건을 대하는 옥시의 태도는 완전히 달라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의 1·2차 조사에서 1·2단계 판정을 받은 피해자 183명 중 80% 이상의 피해자들을 직접 만나 지난해 첫 배상안을 마련해, 현재까지 89%의 피해자와 합의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10일 발표된 3차 피해자 배상안이 1·2차 배상안과 동일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1·2차 피해자들과 동일한 방식의 배상액 산정을 요청한 3차 1·2단계 피해자들의 의견에 따른 것”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올해 1월 가습기살균제 관련 업체 전·현직 임직원에 대한 법원의 판결이 나올 당시 피고인 전원이 항소했지만 옥시는 항소를 포기했다. 잘못을 인정하고 피해자를 돕겠다고 하면서 법적 투쟁을 벌이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현재 존리 전 옥시 대표나 신현우 전 대표에 대해 진행되고 있는 재판은 개인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어 사측과는 무관하다”고 해명했다.
책임 외면하는 가해기업 규탄
옥시를 비롯한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이 가습기살균제에 사용했던 화학물질 PHMG의 경우, 흡입 독성이 확인됨에 따라 이들 기업은 지난해 책임을 인정하고 보상 대책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가습기살균제에 사용된 또 다른 화학물질인 CMIT/MIT에 대해서는 아직 유해성이 확인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관련 기업들이 침묵하고 있어 가습기살균제 사태는 해결까지 갈 길이 먼 상황이다.
이 때문에 가해 기업들의 진정성 있는 사과와 이들에 대한 처벌을 촉구하는 시민단체의 목소리도 여전하다. 가습기살균제 참사를 알리는 데 앞장서온 가습기살균제참사전국네트워크와 가습기살균제피해자와가족모임 등은 지난달 24일 서울 구로구 AK플라자 구로본점 앞에서 애경이 자체적인 피해신고센터를 만들어 자사 제품 피해자를 찾아낼 것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애경은 2011년 정부의 역학조사에서 ‘가습기메이트’ 사용 피해자가 없었고, 동물실험에서 폐섬유화가 나타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지금까지 사과 한마디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2014년 이후 정부 판정에서 애경 제품만을 사용했다가 사망한 사례가 여럿 있었다”며 책임을 외면하는 애경을 규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