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2025.02.04 (화)

  • 맑음동두천 -5.4℃
  • 맑음강릉 -1.7℃
  • 맑음서울 -5.9℃
  • 구름조금대전 -3.2℃
  • 맑음대구 -1.0℃
  • 맑음울산 -0.5℃
  • 광주 -2.2℃
  • 맑음부산 1.9℃
  • 흐림고창 -3.9℃
  • 제주 2.0℃
  • 구름조금강화 -7.3℃
  • 구름많음보은 -4.6℃
  • 구름조금금산 -3.3℃
  • 구름많음강진군 -1.0℃
  • 맑음경주시 -0.4℃
  • 맑음거제 1.0℃
기상청 제공

경제

경기부진?"…고급차, 오히려 판매 급증

URL복사

지난해 국내 벤츠 S클래스 판매 1만대 육박…전년比 두배

[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경기 부진 속에서도 고급차 판매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벤츠·벤틀리·포르쉐 등 고가 브랜드 차종은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있다.

11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메르세데스-벤츠의 경우 지난해 최고급 모델인 S클래스 판매량이 9231대로 전년(4602대)의 두 배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 상반기 판매에 들어간 S클래스의 최상위 모델 메르세데스-마이바흐 S클래스가 949대 팔린 것을 감안하면 최고급 모델 판매량이 1만대를 넘어섰다. 마이바흐의 가격은 2억3000만∼2억9000만원대다.

포르쉐도 질주를 거듭하고 있다. 포르쉐는 지난해 카이엔 디젤 모델을 1030대 판매한 것을 비롯해 모두 3856대의 판매실적을 올렸다.

보통 1∼2억원 가격대의 차종들을 판매하는 포르쉐는 지난해 카이엔 디젤 모델을 1030대 판매한 것을 비롯해 모두 3856대를 팔았다. 이는 2014년(2568대)보다 50.2%나 늘어난 것이다.

벤틀리 판매량도 ▲2013년 164대 ▲2014년 322대 ▲2015년 385대 등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롤스로이스의 지난해 판매량도 63대로 2014년(45대)보다 40.0% 늘어났다. 특히 가격이 7억원에 육박하는 롤스로이스 팬텀 EWB와 팬텀 드롭헤드쿠페도 각각 3대, 1대씩 팔렸다.

아우디의 대형 세단 A8의 경우 지난해 판매량이 1614대로 2014년(1510대)보다 6.9% 늘었다.

BMW의 경우 대형 세단인 7시리즈의 판매량이 2014년 1895대에서 지난해에는 1830대로 다소 줄었다. 하지만 이 판매량에는 지난해 새로 출시된 7시리즈를 손에 넣기 위해 기다리는 계약자들이 누락됐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는 "고소득층의 경우 경기 부진에 따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롭다"며 "국내의 경우 고급차 시장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시사뉴스
제보가 세상을 바꿉니다.
sisa3228@hanmail.net





배너

커버&이슈

더보기

정치

더보기
최상목 대행 "경제 회복 골든타임"… 여야정 합의체서 추경 논의" 제안
[시사뉴스 홍경의 기자] 여야가 국회에서 국정협의회 2차 실무협의가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추경 논의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회복세가 지연되고 미국 트럼프 신(新) 행정부 출범으로 인한 국제 경제 불안정성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커지는 가운데 추가경정예산(추경) 논의가 급물살을 타는 모양새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민생·경제 회복의 골든타임'을 언급하며 추가 재정투입을 논의해달라고 요청한 직후 여야가 한발 물러서 추경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4일 관가 및 정치권에 따르면 이날 국회에서 국정협의회 2차 실무협의가 진행될 예정인 가운데 추경 편성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 고위 관계자는 "(최상목 권한대행은) 추가적인 재정 투입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며 "(민생)법안 통과와 추경, 그 외 다른 여러가지 경제를 살리기 위한, 좋은 충격을 주기 위한 방법들을 논의하자는 것"이라고 전했다. 불과 보름 전인 지난달 22일 "정부는 현재 추경 사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는 입장에서 선회한 것이다. 추경 논의는 지난달 31일 국무회의에서 최 권한대행이 '추가 재정 투입 논의 요청'을 언급한 직후

경제

더보기


문화

더보기

오피니언

더보기
【박성태 칼럼】 불행 중 천만다행…애초에 불행한 일 없었어야
[시사뉴스 박성태 기자] 15일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과정에서 우려되었던 공수처와 경호처 간의 무력 충돌 없이 영장집행이 순조로이 진행되자 이를 지켜보던 국민들은 “불행 중 천만다행”이라며 가슴을 쓸어내렸다. 이날 새벽4시30분 공수처는 지난 3일 집행하려다 실패한 윤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 집행을 재차 시도해 대치 6시간여만인 오전 10시 33분 비교적 순조로이 체포영장을 집행했다. 12·3 비상계엄 사태가 발생한 지 43일 만이다. 지난 3일 체포영장 집행에 실패하자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에서는 “물리력을 동원해서라도 반드시 윤 대통령을 체포해야 한다”며 공수처를 압박했고 공수처도 “반드시 그렇게 하겠다”고 호응했다. 이에 대해 국민의힘 등 여권에서는 “헌법에 어긋난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은 법적근거가 없다”며 체포영장 집행에 반대했고 심지어 윤 대통령이 경호처 직원들과 오찬자리에서 “총이 안되면 칼이라도 휴대해 체포영장을 막으라고 지시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며 양 기관 간의 무력 충돌은 '일촉즉발'의 위기 상황을 연출했다. 정말이지 만약 양 기관 간의 무력 충돌이 발생, 단 한 명의 사망자라도 발생하면 국내외적으로 국가신인도 하락은 물론, 거의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