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3분기 우리나라의 실질 GDP가 1.3% 성장했다. 2010년 2분기(1.7%)이후 21분기(5년3개월)만에 최고치다. 또 국민소득도 1.4% 상승해 3개월 만에 다시 증가세로 전환됐다.
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2분기 대비 1.4% 증가로 나타났다. 실질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 구매력으로 지난 2분기에는 4년 반만에 처음으로 감소했다가 3분기 다시 증가한 것이다. 명목 국민총소득(GNI)도 전기대비 1.7% 감소했다.
이는 우리나라 국민이 외국에서 받은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우리나라에서 번 소득을 뺀 순소득(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늘어난 영향이다. 국외순수취요소소득(실질)은 2분기 1조1000억원에서 3조1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실질 국내총생산(GDP)도 전분기보다 1.3% 성장하면서 속보치보다 0.1%p 상승했다. 이로써 지난해 1분기 이후 6분기 만에 1%대의 성장률을 회복했다. 전분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영향으로 급격히 위축됐던 경기가 민간소비와 건설 등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된 영향이 컸다.
업종별로 보면 건설업이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5.6% 증가했고, 서비스업도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 운수 및 보관업 등이 증가해 1.0% 성장했다. 제조업의 경우 LCD와 선박업은 부진했으나 반도체와 휴대폰 업종이 증가하면서 0.1% 성장을 기록했다.
수출은 LCD와 선박 등이 줄어 전기대비 0.6% 감소하면서 지난해 3분기(-1.7%) 이후 4분기 만에 마이너스를 보였다. 수입은 석탄 및 석유제품,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이 늘어 1.1% 증가했다.
총저축률은 35.8%로 전기 대비 0.5%p 상승했다. 3분기 늘어난 국민총처분가능소득(1.8%)이 최종소비지출(1.0%) 증가폭을 앞질렀기 때문이다. 국내 총투자율도 전기 대비 0.8%p 상승한 28.8%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