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중국 금융 당국은 5일 요동을 치는 증시 혼란을 막기 위해 상장기업 대주주와 경영진의 주식매각을 규제하는 방안(룰)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는 전날 6개월 시한의 대주주 지분매각 금지 조치가 오는 8일 해제되면 1조 위안대 물량이 풀린다는 우려 등으로 증시가 7% 폭락한 것과 관련해 이 같은 대책을 추진 중이라고 전했다.
증감회는 대주주 등이 일정기간 팔 수 있는 주식 비율을 제한하는 방식을 도입해 매각금지 조치 실효 후 매물이 대량으로 쏟아진다는 시장의 우려를 진정시킬 생각이다.
이와는 별도로 최소한 10곳의 주요 상장회사는 이날 앞으로 6~12개월 동안 자사 지배 주주와 간부가 시장에 보유주를 내놓지 않을 방침이라고 언명했다.
자동차 부품 메이커 스지화퉁(世紀華通) 집단은 앞장서서 매각금지 기한을 자발적으로 연장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스지화퉁은 성명을 내고 주가 안정과 소액주주를 보호하기 위해 대주주가 2017년 1월9일까지 보유주를 매도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중국인민은행은 작년 9월8일 이래 최대 규모인 1300억 위안(2약 3조3700억 원)의 자금을 역환매조건부채권(RP) 방식으로 시장에 공급했다.
기대 이상으로 많은 자금 공급은 유동성 흐름에 민감한 개인 투자가에 대해 인민은행이 시장에 충분한 자금을 풀어나갈 것이란 메시지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인민은행의 이번 유동성 공급은 증감회와 일부 상장사의 발표와 더불어 바로 투자 심리를 개선하는 효과를 내면서 장중 3% 이상 속락하던 상하이 증시가 약보합세까지 회복해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