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재순 기자] '민생국회'와 '협치'를 표방하며 문을 연지 불과 이틀만에 20대 국회도 파행을 면치 못했다. 막말과 삿대질이 횡행하며 상대에 대한 원색 비난과 고성, 회의방해는 여전했다.
이틀째 대정부질문(비경제분야)에서 여야는 충돌했다. 일부 여야 의원들은 당 지도부 중재에도 아랑곳없이 본회의장에서 막말과 고성을 내지르며 회의를 방해하면서, 20대 국회 첫 파행을 기록하는 오점을 남기고 말았다.
전날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비교적 무난한 공세를 폈던 야당은 이날 이틀째 대정부질문에서는 '이정현 보도개입 논란', '어버이연합 의혹' 등 작심한 듯 각종 현안에 대한 대공세를 시작했다.
포문은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열었다. 박 의원은 김현웅 법무부장관을 상대로 어버이연합에 대해 "김 장관은 평소 어버이연합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게 정치 단체인가, 시민 단체인가, 아니면 박근혜 대통령 보위 단체인가"라고 힐난했다.
박 의원은 이어 "박 대통령은 사사건건 시국에 대해 말하며 야당과 야당 지도자들을 비판했다. 현안마다 철저히 야당을 무시하는 발언을 했는데 그 때마다 어버이연합이 화형식을 하며 마녀사냥을 했다"며 "어버이연합은 박 대통령의 보위 단체라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재차 공세를 이어갔다.
이에 김 장관이 "수사가 현재 진행 중이다. 수사 결과를 보시면 그 단체의 성격을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하자, 박 의원은 "그럴 거면 여기 왜 나왔느냐"고 몰아세웠다. 박 의원은 또 "수사 결과를 알려달라는 것이 아니라 소환 계획이 있느냐 정도도 대답을 못하느냐"며 "법무부 장관이 국회를 모독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자 새누리당 의석에서는 "사과하라"며 즉각 반발했다. 김 장관에 이어 단상으로 나온 황교안 국무총리도 박 의원과 설전을 이어갔다.
여기까지는 설전이 오가는 정도였다. 위태롭던 분위기는 김동철 국민의당 의원의 질의에서 폭발했다.
김 의원은 황교안 국무총리에게 정부의 인사가 특정지역에 편중 돼 있다고 따졌고 김 총리는 이에 "사실과 다르다"며 반박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총리의 인식은 영남출신의 경우 역량이 있어 인사를 시켰고, 다른 지역은 역량이 부족해 인사하지 않았다는 것인가"라며 거듭 몰아세웠고, 황 총리 역시 "그렇지 않다. 지금 여기 앉은 국무위원 중에도 각계의 분들이 다 있다. 저도 영남이 아니다"라고 물러서지 않았다.
그러자 본회의장에서 이를 듣고있던 이장우 이은재 의원 등 새누리당 의원들이 김 의원에게 야유를 퍼퍼부었고, 이에 발끈한 김 의원은 "정말 그 자리에 앉아있는 걸 한심하게 여기는 국민들이 있다는 걸 알아두라. 가만히 있어요, 이은재 의원"이라고 새누리당 의원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자극했다.
김 의원은 또 이장우 의원에게 "대전시민한테 물어봐. 이장우 의원이 잘하고 있는지", "어떻게 저런 사람을 국회의원으로 뽑아놨나, 다음 총선에서는 저런사람들 제발 뽑지 말아달라"고 원색적인 비난을 퍼부었다.
김 의원은 여기서 멈추지 않고, "김순례(새누리당 비례대표) 의원은 공부 좀 더 하세요", "이렇게 저질 국회의원하고 같이 국회의원 한다는 게 정말 창피해 죽겠다"는 등의 막말을 계속했다.
그러자 이장우 의원도 "내가 국회의원 하면서 당신 같은 사람은 처음 봤어"라고 맞대응했고, 새누리당 의원들은 사회를 보던 국민의당 소속 박주선 국회부의장에게 "이건 인신모독이다", "이걸 왜 제지하지 않느냐"고 따지면서 본회의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이 됐다.
이에 정진석, 우상호, 박지원 등 여야 3당 원내대표가 단상으로 올라와 의원들을 진정시켰지만 김동철 의원은 "동료의원의 질의 시간에 방해를 한사람은 새누리당"이라며 새누리당의 사과를 요구하며 물러서지 않았다.
이후 속개된 대정부질문에서는 김동철 의원이 먼저 사과의 뜻을 담은 유감표명을 하고 나섰지만 이미 감정의 골이 깊게 패인 뒤였다.